액터스 포럼
2,288 개

연기자분들을 위한 포럼 게시판입니다.
어떤 얘기만 해야 한다는건 없습니다. 연기자들을 위한 전용 자유게시판 정도로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가장 자주 나오는 페이문제나 처우개선등에 대한 논의도 이곳에서'만' 이루어지기를 바랍니다.

블록버스터 영화란 무엇일까요?

didrudqhr
2007년 08월 27일 22시 17분 55초 4230 6
안녕하세요 ^^

신체 건강한 ! 대학준비로 약간 스트레스 받고 있는 여고생이랍니다!

아.. 제가 여러가지 지식을 얻기 위해..
(사실.. 면접 대비 문제를 몇개 준비하고 있어서....)


도와주세요 ㅠㅠ

블록버스터 영화란 무엇일까요?

매출액이 큰 영화? 뭐.. 사전적 정의로는 이와 비슷하던데요..
필름메이커스 여러분들의 의견을 듣고 싶네요 ^ ^ 부탁드립니다~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dinoblack
2007.08.28 16:47
블록 버스터 영화는 실제 흥행을 목표로 만들어진 영화 또는 영화 제작 비용이 큰 영화로 보통 불리우고 있습니다.
이는 블록버스터가 실제로 흥행을 목표로 기획되어진 것이기 때문이지요.

1970년대 미국영화계는 몇가지 문제에 봉착하게 됩니다.

우선 대중들의 볼거리를 담당하는 영상매체가 그동안 스크린 중심에서 TV매체로 급격하게 넘어가기 시작하는 문제
둘째로 1970년대 이전의 대다수의 영화들은 장르성 중심의 예술성과 오락성의 경계에서 관객의 규모가 어느 이상 넘지 못하는
정체된 시장규모에 머물러 있었다는 것이지요. 이는 미국이 다민족 국가로써 갖고 있는 핸디캡이기도 합니다.
세번째 문제로는 TV 매체의 영상과의 차별화를 이끌어내기위해 영상 제작 퀄리티의 상승과 제작비용의 증가를 볼수
있을것입니다.
일련의 이런 문제점은 아주 간단하게 보면 제작비는 증가하는데 관객은 고정화 되어있다란 것입니다.
코메디 좋아하는 사람 액션물 좋아하는 사람 등등 서로간의 취향과 정서적 교감을 바탕으로 하는 영상물의 선택성은
비용증가 대비 수익 창출의 가장 큰 벽이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헐리웃은 대중 매체가 갖고 있는 특성과 이야기가 갖춰야할 특성 마지막으로 비주얼의 전달력등을
고려하여 예술성이니 장르성이니 하는 기존의 영상 문법을 뛰어넘는 새로운 이야기 구조를 기획하게 됩니다.

사람들은 두가지에 관심을 갖는다..란 개념에서 소재를 선정하게 됩니다.

하나는 나도 아는 이야기 또는 경험한 이야기에 관심과 집중력을 갖게 되는 것이지요.
또하나는 누구도 본적없고 누구도 볼수 없는 이야기 오직 제시되는 요소를 바탕으로 추상적으로 접근할 수 밖에 없는
이야기에 관심을 보인다는 것이지요.
보통 전자는 사랑, 가족, 스피드 등 일상의 범주에서 매체를 탄 소재들이 중심이 됩니다.
후자의 대표적인 것은 SF 물들이 주류를 이루겠지요.

일딴 이야기의 요소는 누구나 정서적 교감이 없어도 관심과 흥미를 갖을 수 있는 소재를 바탕으로 영화를 만든다가 블록버스터
의 핵심임니다.

두번째 특징은 이야기 구조가 복잡할 지언정 이야기는 단순하게 누구나 보면 알수 있게 표현한다가 블록버스터 연출의 기초입니다.
이는 여러분이 한번 클래식 음악을 들어보시기 바랍니다. 어떠시죠? 익숙한 곡이 나오면 아 아는 멜로디야 하지만
클래식 음악은 단순히 맬로디만으로 이해하고 음을 감상하긴 그래도 어렵지요. 블록버스터 영화는 사고력을 통해 인지되는
영상이 아닌 나이트클럽에 가서 댄스 음악에 빨려 정신없이 충과 감정의 흐름을 즐기듯 시작적인 이미지의 연속적 배치를
통해 간결한 이야기의 흐름을 이해하고 즐길수 있도록 영상을 재 구성하는 것이라고 이해하시면 될듯합니다.

영상 다시 말해 이미지는 일정한 이미지의 의미 전달력을 갖고 있다가 규정됩니다. 물론 이러한 이미지의 표현에 대한
의미는 항상 바뀔수 있고 또 바뀝니다. 하지만 일정한 상징성을 갖고 있다고 보는 편이지요.
이러한 이미지의 상징성은 한 이미지의 앞뒤에 어떤 패턴의 이미지를 연속적으로 보여주는가에 따라 생각하지 않고 봐도
추상적으로 아 이런상황이구나 하고 이해하게 됩니다.

따라서 잘 만들어진 블록 버스터급 영화는 이미지의 힘 영상의 흐름으로 간결한 서술구조의 이야기를 쉽게 잘 전달할수 있으
며 누구나 재미있게 볼수 있다는 결론을 보여주게 됩니다.

이러한 블록버스터의 소재적 영상적 특징은 미국 헐리웃 영화 산업이 세계 영화 산업을 주도하는 매카로 자리잡게 되었으며
지금도 이런 헐리웃 영화는 전 세계적으로 방대한 관객을 흡수하며 거대 자본을 생성하고 있는것입니다.

따라서 블록버스터는 엄격히 따져본다면 대중들의 정서적 교감이나 의식의 거부감을 깨는 영화라는 의미로 보는게 더
정확한 표현일지 모르겠습니다.
정서적 거부감을 벗어냄으로써 일정 영역의 관객의 틀을 벗어나 보다 많은 관객을 수용하고 이를 통해 막대한 수익을 창출
해 갈 수 있다는 것이지요.

마지막으로 헐리웃은 이런 블록버스터가 관객을 보다 효과적으로 흡입할 수있는 극장 시스템과 마케팅 시스템을 결합합니다
극장은 우리나라에도 주력이 되고 있는 멀티플렉스 극장의 탄생이고 마케팅이야 두말할 필요없이 영화산업의 필수라고
보시면 될것입니다.

블록버스터 영화 한편 제작비가 평균 1억5천만 달러 우리나라 돈으로 쉽게 1500억 정도 들이는 군요.
물론 3억달러 들인 영화도 있고 또 몇천만 달러들인 영화도 있습니다만 평균으로 보면 요즘은 1억~2억달러 정도 들이는듯
하군요.
미국이 돈이 많아서 저만큼의 돈을 들여 영화 만드는 것은 사실 아닙니다. 미국만큼 경제 원리에 민감한 나라도 없지요.
헐리웃은 블록버스터 다시말해 대중의 흥행을 이끌어 낼수 있는 영상기법과 소재의 표현에 확실한 가이드 라인이 존재하기
때문에 투자하는 것이지요.
보통 블록버스터 한편 제작에 2억달러 들인다 해도 수익은 평균 1.5배 정도 됩니다.
Profile
lastactor
2007.09.02 13:37
원래 2차 대전때 영국공군이 사용했던 폭탄으로
한 구역을 전부 날려버릴 위력을 가졌다고 해서 붙여진 폭탄의 이름으로

영화에 사용되기시작했을때는 도시 한블록의 거리를 폭파할정도의 위력을 지닌
폭탄의 파괴력과 같은 정도의 영향력을 지닌 영화라는 뜻으로 부터 쓰인 말입니다.

예전엔 단기간에 대박을 낸 영화를 지칭했었는데
요즘엔 엄청난 돈을 들여만든 <흔히 말하는 대작> 영화를 블록버스터라고 말합니다.
writeroh
2007.09.13 03:03
원하던 정보를 얻었으면 감사인사정도는 해야하는거 아닌가요?
아무리 어리다곤 하지만 예의를 갖추시길...
didrudqhr
글쓴이
2007.09.28 23:33
guyfincher님, dinoblack님, lastactor님 감사합니다 ^- ^
writeroh님? 제가 고쓰리라 시간이 없어서 질문들만 올리고 나가고 올리고 나가고,, 댓글 확인할 틈이 없었는데..
didrudqhr
글쓴이
2007.09.30 19:33
m00528님 제가 수능이 얼마 안남아서 스트레스 받아서 글을 참 님말대로 버릇없이 쓴것 같네요.
안그래도 쓰고서 마음에 걸려서 계속 들어오고 싶었는데, 시간이 없어서 이제야 들어왔는데.
그새 지적을 해주셨네요. 감사하고 화나려고 하셨다니 죄송해요 그리고 저 이상한 사람 아니예요. 그렇게 치부해 버리지 말아주셨으면 좋겠어요.
writeroh님 제가 지금 댓글 수정했지만.. 저번에 썼던 말 그냥 홧김에 했었던 거예요. 죄송해요.
그냥 수험생이 정신이 살짝 없었나 보다라고 생각해주세요. 죄송합니다
m00528
2007.10.01 00:42
did******님 저도 나이어리신분들께 많이배운답니다
열정을 그리고 그리고 영화에대한사랑을...
나이가 뭐 중요하겠습니다만...
그래도 이안에서 선배라기까지말하면 좀 오버일수있지만 먼저영화를사랑하신분들이있고
그분들이 님을위해서 또 여기에 같이영화를 사랑하는 사람들을 위해서 조금이이라도 고민이있으면 상담도해주고 같이아파도하고 그러는데 물론 오해도있고 그렇지만..
우리 최소한의 예의는 있어야죠 저도 많이 부끄럽지만...그러자고요 예의 어렵지안잖아요??^^
수험생이시라니까 힘내시고요 앞으로 하시고자하는일 잘됐음합니다^^
글 등록 순으로 정렬되었습니다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링크,전화번호,이메일등 포함된 게시물은 삭제합니다.
연기초보자에게 무료로 연기수업을 받을수 있는곳이 있을까요? 5 voice75 2007.08.08 5932
'디워'를 보며 진정 영상을 하는 이유와 자세가 무엇인지 고민할때 인듯... 2 jmkm66 2007.08.08 4160
배우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싶습니다. 3 nachi666x 2007.08.08 3930
스텝분들에게 물어 봅시다 !!! 9 tomato82 2007.08.09 4010
디워가 말아 먹을 것들 1 sos6903 2007.08.11 4088
Column - 최광희의 직설화법 : <디워>의 축하받을 흥행, 그러나 2 nashyguy 2007.08.12 4392
MBC <100분토론> 4 pyopyohi 2007.08.12 4071
배우분들.. 20 m00528 2007.08.13 3919
디워, 우리가 생각하고 나아가야 할 것들... 5 efxjames 2007.08.13 3993
연기 연습실 없나요? 4 ssiskiss 2007.08.14 4109
ㅎㅎ연기자모집란에도 댓글달수가.. m00528 2007.08.21 5363
배우의 영역은 어디까지 일까요? 38 meeker 2007.08.22 3922
블록버스터 영화란 무엇일까요? 6 didrudqhr 2007.08.27 4230
혼자 연기연습하는 뇨자 24 kenzo7780 2007.08.28 4084
눈물연기 3 tomato82 2007.08.28 8121
어느 중견배우의 강렬포스 3 yjpan1 2007.08.29 4567
영화가 사회적 영향력을 갖고 있다면 그것은 무엇을 말하는 걸까요? 5 didrudqhr 2007.08.31 4274
광고(cf), 뮤직비디오 쪽에서 배우 캐스팅하는 경우 참고하는 자료 등이 있는지요? 2 cineauteur 2007.09.05 7422
연기자가 되고 싶습니다 .. 3 heypcj 2007.09.07 5724
현재 저는... 4 adonis 2007.09.10 8730
이전
18 / 115
다음
게시판 설정 정보
댓글이 달린 게시글은 수정/삭제 불가
답글이 달린 댓글은 수정/삭제 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