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정연기 잘하는 비밀

언화영화연기아카데미 2023.04.30 16:34:26

안녕하세요,

언화 영화연기 아카데미, 교육팀장입니다.

 

 

오늘은 많은 배우 지망생분들이 궁금해하는 '표정연기'에 대해

포스팅해 보겠습니다.

 

 

'표정연기'라는 단어를 썩 좋아하지는 않지만

글로써 여러분들에게 쉽게 전달해 드리기 위해

간단한 꿀팁들을 소개해 볼게요~

 

 

무대에서 연기할 때 배우의 표정이 풍부하면 당연히 좋습니다.(캐릭터에 따라 다르겠지만)

하지만 매체연기에서 바스트 샷 또는 웨스트 샷보다 작은 샷일 경우에는

표정연기를 많이 사용하면 좋지 않아요.

특히 그중에서도 '눈썹'을 많이 사용하면

인위적으로 보이며 과한 느낌이 강합니다.

​​

물론, 매체에서 단역처럼 전형적인 캐릭터

책임지는 포지션이라면

그것에 걸맞은 표정연기를 하는 것이 크게 거슬리지 않습니다.

그러나 주조연급 이상이라면 시청자들이 좋아하지 않고

배우의 감정에 잘 따라가지 못하죠.

 

 

예를 하나 들어보겠습니다.

누구나 집에 인형 하나쯤은 있을 겁니다.

이때 표정이 정해진 인형을 보면

해당 인형의 감정을 설명해 주는 느낌이 전해지죠.

왜냐하면 말 그대로 감정을 표현하는 데 그쳐있기 때문이다.

 

반면 표정이 정해져 있지 않은 인형은

그날그날 내 기분에 따라 표정이 다르게 느껴집니다.

인형의 눈동자를 보았을 때, 누군가는 밝고 행복한 눈빛으로 해석할 수 있고,

그렁그렁 촉촉한 눈빛으로도 해석할 수도 있죠.

 

즉, 보는 사람에 따라 각자의 해석을 할 수 있게 되는 겁니다.(입체적으로 해석되죠)

또 다른 예로, 대부분 반려동물이라고 하면 강아지나 고양이를 키우는 분들이 많으실 겁니다.

강아지나 이렇다, 고양이는 꼭 이렇다고 단정 지으려는 것이 아니라

대부분 제 주변에서 강아지나 고양이를 키우는 사람들을 봤을 때

고양이에 비해 강아지가 더 표정이 많더라고요~

 

고양이는 강아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표정이 없어서 읽고 해석하는 재미가 있습니다.

배우의 표정연기도 같은 맥락이라고 생각해요.

 

 

표정연기를 할 때는 얼굴 근육이 이완되어

불필요한 긴장감 없이 정렬시킨 상태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배우의 감정은 얼굴의 근육 모양보다는 호흡의 패턴으로 보내진다는 것을 명심해야 해요

다시 말해 표정연기 역시 호흡패턴으로 인한 감정의 결과입니다.

 

 

----------------------------------------------------------------------------------

 

 

언화 영화연기 아카데미의 교육이 궁금하시다면 ​↓

​https://blog.naver.com/studio_speech_act/2230594696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