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가스와 자본주의

moosya 2008.01.31 15:50:19
각종 청구서가 부담스러운 사람들이라면 의례 동절기의 도시가스비가 가장 걱정스러울 것이다.
그것을 아끼는 방법도 여러가지.
보일러의 한쪽 밸브를 잠그던가. 보일러는 약하게 틀고 전기장판을 이용한다던가. 방안에서 연신 뜀박질을 한다던가...
혹자는 윗집에서 보일러를 때니 천장은 따듯할 것이며 그래서 나는 춥지 않다고 스스로 주문같은 최면을 거는 사람도 있단다. 뭐 오래 버티지는 못하겠지만.
이제 도시가스 같은 생활 에너지도 사기업화 되어서 국민의 생활을 향상시키는 자원이 아닌 이윤착복의 도구로 사용되어졌다. 각 지역마다의 도시가스 담당업체가 모두 다르다고는 하나 그 상업적 전략은 비슷하지 않을까 싶다. 그래서 말인데 이번 겨울 유난히 경제적으로 힘든 나에게 새롭게 인식되어진 사실이 있었으니...

작년 겨울 회사를 박차고 나와서 근 1년째인 지금. 그 때는 몰랐던 사실들을 알게 되었다.
5~10만원 정도의 도시가스비 같은 것은 별로 신경 쓸 필요 없었던 그 때와는 다르게 지금은 어떻게든 도시가스비를 미루고 미루어서 내어야 하는 지금에야 그들의 상업적 전략 한가지가 눈에 들어온 것이다.
도시가스 사용이 줄어드는 3월을 지나, 가끔 비오는 날이나 사용하는 5월이 되면 아무리 도시가스비를 연체하더라도 해당업체에서 가스차단을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물론 독촉장은 날아오나 그 기간의 독촉장에는 가스차단의 협박성 문구가 없다. 반면 겨울에는 2달만 연체 되어도 가스를 차단한다느니 계량기를 끊는다느니 하는 살인적인(겨울철에는 살인적인 것이다.) 협박성 독촉장을 날리고 실지로 가스를 끊어버린다.
왜 일까....
생각해 볼진데 여기에는 교묘한, 하지만 아주 단순한 상업적인 전략이 숨어있는 듯 하다.
겨울에는 도시가스를 끊으면 난방수단이 전혀 없어져 버린다. 그래서 사람들은 어떻게 해서든, 돈을 빌리거나 훔쳐서라도 가스가 끊기는 것만은 막으려 한다. 하지만 3~10월 사이에 가스가 끊기면 '뭐 어차피 돈도 없는데 안 쓰고 말지' 하며 버틸 수 있다. 그러면 당연히 가스 소비가 줄어들고 해당업체의 수입도 줄어들어 버린다. 하지만 월동준비가 가까워지면 그 기간동안에 밀려있는 요금까지 모두 합산되어(당연한 것이지만) 한꺼번에 소중한 고객들에게 상콤하게 요금폭탄을 날려준다. 당장이라도 가스를 끊을 것 처럼. 안내고는 못 배긴다. 이런 방식으로 매출을 높이는 것이지 않을까 싶다. 너무 당연한 이야기를 하는 걸까... 난방은 생명인데... 나만 잔인하게 느끼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