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 디지털 특수효과 (구미호에서 공동정비구역JSA까지)세미나

사단법인 영상기술학 2000.09.06 14:31:56
' 2000 디지털 특수효과 세미나 ' 개최 안내

사단법인 영상기술학회에서는 영화, 영상, 애니메이션, 멀티미디어 학과 전공자들과
영화제작 단체 및 특수효과 업계종사자들을 대상으로 국내 디지털 특수효과의 실질적 기술 발전을 모색하고자 '2000 디지털 특수효과 세미나를 개최합니다.
현직 최고의 디지털 특수효과 전문가들의 현장감 있고 생생한 현장체험과 강의 그리고 영상 전문인들의 토론회가 펼쳐질 이번 세미나는 현재 국내 디지털 특수효과의 현실과 나아갈 방향을 짚어줄 소중한 시간이 될 것입니다. 또한 영상 관련학과 학생 및 영화영상관련 단체와의 인적 교류의 장을 마련하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이번 세미나는 평범하고 형식적인 세미나를 벗어나, 참가하신 모든 분들의 실리적 이익을
위해 마련한 자리임을 자신 있게 말씀드리며, 많은 참석 바랍니다.

1. 세미나명 : ' 2000 디지털 특수효과 세미나
2. 일    시 : 2000년 9월 22일 ~ 9월 23일 ( 10 : 00 ~ 17 : 00 )
3. 장    소 : 서울 애니메이션 센터 영상관
4. 주    최 : 사단법인 영상기술학회
               서울산업진흥재단 서울애니메이션 센터
5.주    관 : 사단법인 영상기술학회
6.후    원 : 문화 관광부
7.참가인원 : 250명 예상 (추후 변동가능)
8.참가비용 : 15,000 원 (식대 미포함)
9.참가방법 : 참가신청에 의한 선착순

참가 대상
  1. 한겨레 문화센터 및 서울 애니메이션 센터를 통한 참가자
  2. 전국 영화 영상 애니메이션 및 컴퓨터 그래픽 관련학과 학생
  3. 디지털 특수효과 업계 종사자
  4. 영화제작 단체 회원 및 제자관련 업계 종사자
  5. 디지털 특수효과 관련 전공자 ( 강사, 겸임교수 등 )

참가 방법
  1. 최종 참가신청은 영상기술학회 세미나 기획팀에서 전화 및 e-mail접수
        : 문의전화 (02-3424-5022),  e-mail ( mitak2000kr@yahoo.co.kr )
  2. 영상기술학회 홈페이지에서 참가방법 안내 (www.mitak.org)
  3. 한겨레 문화센터와 서울애니메이션 센터를 통한 참가 신청
  4. 신청서 양식은 영상기술학회 홈페이지에서 다운 받아 이메일 접수 및
     전화신청 가능
  5.  참가비 납부는 한빛은행 (계좌번호 230-211238-02-001
      사단법인 영상기술학회 성주호)
      으로 입금 시키며 은행입금순서로 참가순서 정함 ( 선착순 250명)
1. 세미나 진행계획

     * 세미나 1일차 (2000년 9월 22일 서울 애니메이션 센터 영상관)
          10:00 ~ 11:00  참가자 확인 및 자료집 배포 일정공유  
          11:00 ~ 12:30  제  1  강
          12:30 ~ 13:30  점심 시간
          13:30 ~ 15:00  제  2  강
          15:00 ~ 15:20  휴     식
          15:20 ~ 17:00  제  3  강

     * 세미나 2일차 (2000년 9월 23일 서울 애니메이션 센터 영상관)
         10:00 ~ 11:30  제  4  강
         11:30 ~ 12:30  점심 시간
         12:30 ~ 14:00  제  5  강
         14:00 ~ 14:20  휴     식
         14:20 ~ 16:20  국내 영화산업 관계자들의 토론회
         16:20 ~ 17:00  세미나 관련 설문서 작성 및 정리

   2. 세미나 세부내용

     제 1 강 - 윤경현 교수 :  영화와 컴퓨터 그래픽스
          현재 영화의 특수효과 제작에 사용되는 컴퓨터 그래픽의 구동원리와 발전방향

     제 2 강 - 이상섭 (쿠알라 프로덕션 대표)  :  영화 특수효과 기술의 역사
          영화 특수효과 기술의 역사를 통해 본 국내 영화 특수효과 기술의 문제점

     제 3 강 - 유희정 ( 디지팝 프로덕션 대표)  :  영화 <용가리> 제작 사례발표
        - 용가리 하이라이트 모음 상영
        - 컴퓨터 그래픽 작업의 일반적인 과정
        - 비디오 작업과 영화 작업의 차이점
        - 용가리 작업시 어려웠던 점
        - 용가리 메이킹 필름 하일라이트
        - 용가리 주요 장면의 합성 과정
        - 바람직한 컴퓨터 그래픽 작업의 방향

       제 4 강 - 이재홍 ( (주) 애니맨 대표이사 ) : 컴퓨터 그래픽(CGI)의 매체별 활용                                                       사례 비교
        
          -영화에의 사용
          -만화영화
          -방송그래픽
          -CF, 문화영화
          -On_line Media

     제 5 강 - 장성호  :  영화 <공동경비구역 JSA> 컴퓨터 그래픽 사례 발표
         - <공동경비구역JSA>에서 CG의 활용방안 및 구체적인
            프로세스를 사례별로 설명
         - 시나리오 회의로부터 구체적인 CG 협의 내용 및 방법
         - 사전 준비와 촬영 소스 구축하기
         - 프로세스를 확립하고 최종 작업에서 마무리까지
    
     국내 영화 산업관계자 토론회

       주 제  : 각분야별 영화 관계자들이 본 "디지털 특수효과의 현주소와 발전방안"
       참가자 : 윤경현 교수
                이재홍
                영화프로듀서 1명 (추후결정)
                영화감독     1명 (추후결정)
                촬영감독     1명 (추후결정)
                *토론 참석자는 변경 가능

     3. 세미나 강사진 약력

        * 윤경현 교수
           1991년 미국 코네테컷 주립대학 컴퓨터 그래픽스 박사학위 취득
           (현)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영상공학부 부교수

       * 이상섭
            미국 OXBERRY 사 기술 연수
           신씨네 영화사 기술감독
            - 영화 <구미호> 디지탈 특수효과 담당 완성
          <인정사정볼것없다> 외 다수 옵티칼특수효과작업
           (현) 쿠알라 프로덕션 대표이사
           (현) 사단법인 영상기술학회 이사
  
      * 이재홍
          1994년 영화 <구미호> CG SUPERVISOR
          1997년 영화 <은행나무 침대> CG SUPERVISOR
          1998년 애니메이션 <해모수> <날아라 슈퍼보드> 디지털 디렉터
          (현) (주) 애니맨 대표이사  및 (주) 아빛컨 사업본부장

                                                
      * 유희정
           94'   WASS 영화 기획 ' 슬램덩크 ' 조감독
           95'  '티피코시 파워에이드 체어맨 무크 베스띠벨리 나이키 등
                편집 및 특수합성
           97'  <용가리> 칸느 마켓용 데모 제작 제안
                영화 <용가리> CG SUPERVISOR
                (현) 디지탈 미디어 프로덕션 디지팝 대표이사

    
      * 장성호
          97' <퇴미록> 3D CG, 일부 2D CG 및 타이틀 디자인
          98' <크리스마스에 눈이 내리면>, <내마음의 풍금>  CG 및 타이틀 디자인
          99' <이재수의 난>, <구멍>, <컷 런스 딥>, <행복한 장의사>, <해피엔드>,
             <섬> CG  <반칙왕>예고편 제작
          00' <킬리만자로>, <가위>, <공동경비구역JSA> CG
             <비밀>, <미인>예고편 제작
             (현) 모팩스튜디오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