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영화연기학원 선택할 때 3가지 Tip

건승
2019년 02월 09일 19시 10분 11초 874

방송연기학원 고를 때 3가지 TIP

 

 

 

 

저번 칼럼에서는 영화, 방송 현장에 진출하는 방법 2가지를 다뤄보았습니다.

https://blog.naver.com/rmrdptnf/221459078089

 

오늘은 이제 시작하시는 분들에게 가장 중요한

연기 공부, 연기 공부 기관을 ‘어떻게 해야 잘 선택할 수 있을까?‘에 대해서

다뤄 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대한민국에 연기 지망생이 10만 명 이 넘는다고 합니다.

연기학원(입시학원 포함) 도 최소 500여 곳이 넘습니다.

 

그중 방송영화 전문 연기학원도 50여 곳이 넘습니다.

 

 

연기뿐만 아니라, 모든 직업은 처음 시작, 뿌리가 중요한데

과연 무엇을 고려하면서 선택해야 할까요?

사실 너무 많이 고려하고, 재보기만 하면,

시작을 못 할 수도, 잡념만 많아질 수도 있습니다.’

 

 

 

방송영화 전문 연기학원을 선택할 때  

꼭 인지 해야만 하는 3가지를 추려보았습니다.

 

 

 

 

 

 

1. 강사의 실체

 

 

정말 중요합니다.

말 그대로 방송영화 전문 연기학원 강사이면

방송, 영화 연기 레슨 경력이 오래된 사람

방송, 영화를 지속적으로 활동하는 사람이어야 합니다.

 

 

 

 

경력이 오래된 사람이라는 것은, 그만큼 학생들이 계속 있었다는 뜻입니다.

잘 가르치니까, 지속적으로 강사를 하고 있다는 뜻이겠죠?

( 수강생들의 수업 후기, 수강생들의 진출 현황, 직접 상담 등 추천합니다)

 

 

 

 

 

또한 활동을 한다는 것은 지속적으로 방송, 영화 시장에서 필요로 하는 배우라는 뜻입니다.

그럼 오디션 연기, 본인의 캐릭터 찾기(각 배우의 특수성), 현재 영화시장의 흐름, 수련 배우의 연기영상, 시장에서 먹히는 연기분석 등

활동을 간간이 한 배우나, 경력이 없는 배우보다는

당연히, 훨씬 더 효율적으로 가르칠 수 있겠죠?

 

(가끔 허위로 올리는 사람도 있으니, 강사 이름 확인 후 포털 사이트 검색해보세요^^)

 

 

 

2. 연기학원 수강 기간

 

 

1년에서 ~ 1년 3개월 정도가 좋습니다.

1년은 정확하게 공부와 훈련 그러면서, 자립심을 기르고

 

 

마지막 3개월은 오디션을 보면서,

활동하는 강사와 같이 배우로서의 점검, 오디션 집중 피드백을 하면서

자립을 하는 게 좋을 거 같습니다.

 

 

이유는

연기 지망생들, 캐스팅이 안 되는 연기자들의 가장 큰 특징은

 

독백 1개 정도는 어느 정도 잘합니다.

하지만 다른 연기를 시키거나, 갑작스러운 상황을 제시해주면

로봇처럼 연기를 하거나 당황합니다.

 

 

연기 공부라는 것은 '독백 대본 1장'을 공부하는 게 아니고

연기라는 전체적인 시스템을 이해하고, 납득하고, 본인 화 시켜야 하는 작업입니다.

조금 더 본질적으로 들어가면, 사람을 이해하는 작업이기 때문에

3개월 정도 수업 듣고, '독백 대본 2장', '2인 극 대본 2장' 숙지했다고 해서

절대 연기를 잘 할 수 없습니다.

 

 

 

 

 

 

 

 

 

3. 구체적인 커리큘럼

 

 

제일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연기 지망생들의 질문 중 가장 어이가 없는 질문이

학원에 다니면, 캐스팅을 해주나요?

 

그럼 저는 묻고 싶습니다.

연기 잘하시나요? 당신 연기가 드라마, 영화에 도움이 되나요?

 

 

대형 학원을 다닌다고 해서 다 캐스팅해주지 않습니다.

정말 잘하는 사람들, 극에 맞는 사람들을 캐스팅을 해야 하는 게

캐스팅 디렉터, 인물 조감독의 일입니다.

 

 

 

학원을 다닌다고, 캐스팅이 되면 모두가 데뷔를 했겠죠?

 

바리스타는 커피를 잘 만들어야 하고

연기자는 연기를 잘해야 합니다.

 

잘하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공부가 필요합니다.

 

 

관심 있는 학원들 사이트에 들어가서 커리큘럼을 확인하시거나

가르칠 강사와 상담을 하시는 걸 추천합니다

 

 

 

 

커리큘럼은, 최대한 구체적으로 최소 1달, 주 단위로 짜 놓은 학원을 고르셔야 합니다.

대충 단면적으로 ‘독백, 2인 극, 즉흥연기, 카메라 연기를 배울 것이다‘

 

정말 비추천합니다.

 

 

 

2번에서 언급한 것처럼, 연기자는 사람을 이해하고, 표현하고

연기라는 시스템을 납득해야 하는데

 

학생은, 도대체 이 수업을 왜 하는지 모르고,

막연하게 ' 수업이니까 하는 거지'라고 생각을 하면

학생의 투자한 시간, 돈을 날리게 됩니다.

본인의 연기는, '독백 1장 연기만 늘고, 연기 자체는 성장이 안 될 것입니다.'

 

 

 

 

 

여러분 '시작이 반'이라고 했습니다.

배우 인생의 절반, 정말 잘 선택했으면 좋겠습니다.

좋은 배우가 되시길 응원하겠습니다

 

다음 칼럼은 혼자 연기 훈련할 수 있는 방법 3가지로 찾아뵙겠습니다^^

 

 

 

 

또 다른 영화연기 궁금증이 있으시면,

홈페이지로 문의 해주시면 칼럼으로 공유하고,

문자 주시면, 답변 드리겠습니다.

단 예의가 없거나, 고민의 흔적이 없는 글은 답변하지 않겠습니다^^ 

HP: 010-9685-2296

작성자 영화연기 1년훈련소, 기실영화연기스튜디오

https://movie119.modoo.at/

글 등록 순으로 정렬되었습니다 글쓴이
캐스팅디렉터가 답변한 배우들 단골질문 #소속사 #연기연습 #연기학원 액팅역지사지
경험 없는 배우지망생들 오디션 보기 전에 이 글을 읽으세요 - 이메일 액팅역지사지
대사 어미 처리 방법 (가장 안 좋은 습관/좋은 예시/연습 방법) 기실영화연기스튜디오
영화 오디션 붙는 사람들의 3가지 이유 건승
영화 현장에 진출하는 2가지 방법 건승
오디션 질의응답이 어려운 당신 액팅역지사지
광고 에이전시 투어, 똑똑하게! 효율적으로! 시간낭비 그만!! 액팅역지사지
배우가 영화제작을 배우면 얻을 수 있는 3가지 기실영화연기스튜디오
제발 프로필 촬영 전 이 글을 한 번만 읽어보세요!(매우 중요) 액팅역지사지
연기를 시작하기에 늦었다고 생각하시는 분? (논리적으로 반박해드리죠.) 기실영화연기스튜디오
평일에는 일하는 직장인, 주말에는 쉬는 배우 지망생 기실영화연기스튜디오
연기자를 위한 완벽한 연습법 (칼럼) 건승
방송영화연기학원 선택할 때 3가지 Tip 건승
현직 배우가 느끼는 웹드라마와 독립영화 현장의 차이 액팅역지사지
배우로서 생존하는 2가지 방법 액팅역지사지
내 목소리, 내 말투로 연기가 안되는 배우 지망생들 극예술
[오디션] 여자 독백 선정 꿀팁 언화영화연기아카데미
대사 숙지 못해서 자주 혼나는 분들, 대사 암기 안 망하는 법 액팅역지사지
현명한 배우가 코로나 시기를 바라보는 자세 액팅역지사지
배우가 역지사지를 안하면 벌어지는 3가지 일 액팅역지사지
이전
13 / 35
다음
게시판 설정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