액터스 포럼
2,288 개

연기자분들을 위한 포럼 게시판입니다.
어떤 얘기만 해야 한다는건 없습니다. 연기자들을 위한 전용 자유게시판 정도로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가장 자주 나오는 페이문제나 처우개선등에 대한 논의도 이곳에서'만' 이루어지기를 바랍니다.

올해 스스로를 돌아보면서

bakayobi
2007년 12월 05일 03시 22분 12초 6500 2
처음엔 어쩌면 연예인을 꿈꿨었는지도 모르겠네요.. 배우하겠다고 한지 어언 10년동안 제대로 오디션 한본 못본 난 멀까요.. ㅎㅎ

지금 생각해보면 지난 날들 아무것도 아닌거같지만.. 그때 당시엔 참 힘겨운 날의 연속이었죠..

이제 올해 숨통이 좀 트이고 생각도 트이는거같구.. 사실 적당히 돈벌면 올여름쯤에 프로필사진 찍고

정식으로 오디션보러 다녀야지 생각했지만.. 여전이 내 마음은 아직은 아니야 라는 생각이 드네요..

연기를 배우면서 오히려 미궁속에 빠지던 내 연기관은 마음을 비우고 편견을 버리고 나서부터 연기의 방향을

잡을수 있었습니다..

긴 세월동안 왜 오디션 한번 못봤냐구요.. 가장 큰 이유는 새가슴.. 전 조금만 놀라도 심장이 두근두근하고

겉으론 아닌척해도 이상하게 몸이 싸해지고 그런게 있어요. 남잔데도 말이죠..

물론 이상한 학원오디션이나 머 무슨캐스팅 이런거는 몇번 봤었죠.. 하지만 불과 2년전만해도..

심사위원 앞에만 가면 머리가 깜깜해지고 말더듬고 내가 말하면서 이게 머하는건지.... 말안해도 훤하죠 ㅎㅎ

한때는 이런 모습땜에 포기할려고도 했고.. 내 주제에 먼 연기냐.. 이런 생각도 했습니다..

근데.. 포기하면 포기될줄 알았는데.. 왜 이렇게 질기게 연기에 대학 욕망은 그대로일까요..

인제 적지않은 나이.. 낼모래면 27입니다.. 남들처럼 대학가서 전공하거나 아님 바로 직장생활해서 타이틀이나

돈을 모은거도 아닙니다.. 막말하자면.. 일용직 비정규직 전전하면서 푼돈 조금 모아논 처지입니다..

내 인생을 객관적으로 길게 본다면 지금이라도 먼 기술이라든가 자격증을따서 먹고살 걱정을 해야할 처지죠..

지금 물론 난 연기를 하고싶습니다.. 하지만.. 난 이쯔음에서 중요한 선택을 해야할거같네요..

연기를 택하면 분명 남들과는 다른 인생이 펼쳐지겠죠.. 나이 먹어도 수입도 불안정하고 특별한 기술이 있는거도

아니고 모아논 돈이 있는거도 아니고.. 가정을 꾸리고 자식낳구 하는 인생과 거리가 멀어질수있습니다..

그렇다면 남들은 머 다 자기가 하고싶은일 하고 사는가? 먼저 먹고살생각부터해야지.. 그게 진정한 삶인가..

참 이 갈등의 무게가 참 오늘따라 무겁게 느껴지는군요..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naskra2001
2007.12.05 05:05
제가 님에게 해줄 수 있는 조언은 하나의 꿈을 위해 하나의 꿈을 포기하세요.나이가 들면 선택의 기로에 서기 마련이죠.감정을 가진 동물이라면 당장 득이 되는것만 보이죠.하지만,지금 최상의 위치에 서 있는 사람은 분명 이 부분에서 확고한 자리매김이 있었던 것 같네요.어느 책에서 보니까 강재규감독이나 박찬욱감독이 37살 되기까지 마누라한테 월급을 준적이 없다고 합니다.정말인지 거짓말이지는 몰라도 불안한 면을 볼 수 있는 대목이죠.님 나이 정도면 다 해내려고 욕심부리다가 버거워서 물러나는 상태가 되기 싶죠.길게 바라보고 차곡차곡 쌓아가시길 바래요.솔직히 말해서 황정민/설경구/송강호 배우님들이 배우얼굴이라기 보다 길거리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외모죠.물론 얼굴을 논하는게 아닙니다.대부분 이부분을 크게 바라보셔서 하는 말이죠.그런 핸디캡을 실력으로 바꿨다는게 더 칭송받는게 아닐까 싶네요.뿐만 아니라 학력 인맥 그런것도 하나의 일부에 지나지 않습니다.오히려 그것때문에 빛을 못보는 경우도 있죠.배우라면 몇살이 되어도 후회하지 않을 마음이 더 커야 가능합니다.배고파서 못한다는 사람치고 실력있는 사람못봤습니다.제가 냉정하게 말씀드리면 다른 일을 해도 힘든 상황일때 극복하기 보다 피하려고 할겁니다.물론 아니기를 바랄게요~그런 투정조차도 정신 낭비니까요.누구라도 성공하면 힘든 사연 책에다가 몇권을 구구절절 써내려갑니다.모든게 아름답게 여겨지죠.죽을것만 같은 순간도 지나면 유치하죠.저는 투정이 꿈보다 크다면 다른길을 알아보시는게 현명한 선택이라고 봅니다.주변을 보더라도 그런 사람과 대화하는게 의미가 없더군요.모든게 부정적인데 잘 될일도 풀릴 수가 없게 보이더군요.그래서 님이 평범한 삶과 배우의 삶이 있다면 평범한 삶만 살다가 내 잠재의식 속에 배우가 더 크다면 그때 하나를 포기 하세요.저는 포기하는 사람을 많이 본지라 그런 사람을 통해 더 굳은 마음을 가집니다.주변인이 내 꿈을 흔들만큼 크지는 않다는 거죠.사랑때문에 못한다면 그것도 넌센스라 봅니다.그리고 영화 외적인 친구는 피하는게 좋은 상책입니다.그들의 삶과 이쪽의 삶은 완전 별개라는 거죠.회사원이 바라보는 배우의 삶은 시간 개념에서 엄청나게 다르죠.주말이 없을 뿐더라 스케줄이 엄연히 다르죠.그걸 대비시켜서 같게 만들면 촬영 도중에 6시 퇴근 9시 출근이 되겠죠.
naskra2001
2007.12.05 05:25
님이 배우를 하겠다면 진짜 전통을 잇는 곳에서 혹독하게 배우시길 바래요.가끔 성룡영화 보면 무술 배우기 위해서 물을 기르고 걸레질을 하잖아요.부정적인 사람에겐 시간낭비 노예아닌가 라고 받아들이지만,긍정적인 사람은 체력과 정신을 무장한다고 여길겁니다.저라도 윗사람이라면 그런 사람을 오랫동안 주목하기 마련이죠.사람의 내면까지 들여다 볼 수 있으니까요.
부수적인 면(돈,사랑,가정,....)을 버리고 밑바닥에서 처음부터 시작하세요.좌절해도 밑바닥보다는 나을꺼라 봅니다.그리고 어떤 역경이 불어닥쳐도 절대 그만 두지 마세요.그러는 순간 물거품이 되죠.제가 이런 말을 성공해야 값지겠지만,저는 성공을 위해 제 꿈을 하는게 아니죠.제가 살아가는 이유니까요.
글 등록 순으로 정렬되었습니다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링크,전화번호,이메일등 포함된 게시물은 삭제합니다.
여러분들이 생각하는 영화적 재능은 / ? 11 zvdsfrt 2008.01.08 4810
눈물연기.... 6 hhteam 2008.01.05 6015
ㅈㅅ 7 kuku153 2008.01.04 3806
단편 페이 최종정리. 더이상 이얘기 그만. 4 guyfincher 2008.01.03 4476
단편에서 '페이'는 최소한의 예의라고 생각합니다. 4 otakuland 2008.01.03 4419
출연료 문제는 촬영 전에 반드시 서로 해결하십시오. 14 kive666 2008.01.03 4169
올 한해는 단편영화 연출하는감독분이나 출연배우나 모두들 상부상조하면 좋겠습니다 2 so1047 2008.01.02 4151
연기시작한지..얼마안되는초보입니다.. 1 ahak2 2007.12.30 5498
연기를 배울 수 있는 방법?? 3 doorcharge 2007.12.28 9007
내 필모에 독립영화가 거의 없는이유 (504번 글을보고) 1 lastactor 2007.12.23 4017
영화 비공개 오디션에 대해서~~~ 2 csj0820 2007.12.23 6666
필커 연기자모집글은 왜 다똑같죠 1 sweety0829 2007.12.19 4586
본인을 홍보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죠? 3 doorcharge 2007.12.18 6370
연기 학원 홍보를 꼭 이런식으로 해야하나~~ 4 kuku153 2007.12.17 4464
독백대사모음 책이나 장면연기 모음 책 추천해주세요~^_^; hansung902 2007.12.17 8281
학원형 에이전시, 연기자 모집란에 글 좀 안올렸으면.. meeker 2007.12.12 4973
단편에 출연하시는 배우분들을 위한 글 10 hanho77 2007.12.07 4946
올해 스스로를 돌아보면서 2 bakayobi 2007.12.05 6500
그냥 밑에 글도 보고..... 5 holligun01 2007.11.29 3880
배우 급여에 대해서... 2 myway0512 2007.11.27 7583
이전
95 / 115
다음
게시판 설정 정보
댓글이 달린 게시글은 수정/삭제 불가
답글이 달린 댓글은 수정/삭제 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