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게시판
15,048 개

모르는게 있으면 물어보고, 아는게 있으면 가르쳐주고...
질문은 최대한 자세히 성실하게, 답변은 친절하고 다정하게

고민이 있어서여~진로에 대한......그리고 연영과에 대해서 질문이여......^^

leojin
2005년 07월 11일 04시 37분 31초 4117 3
안녕하세요.....

오늘 영화감독을 꿈꾼다 카페에서 이곳을 알게 되어 오게 됐네요.......

여기 오니까 그동안 잊고 있었던 영화에 대한 제 마음을 조금이나마 되찾게 되어 다행인거 같습니다.....

근데 역시 영화인의 길은 멀고도 험한거 같습니다......ㅠ(여러 글들을 읽어보니...............)

암튼 다름이 아니오라 너무 고민이 되는게 있는데요....

걍 취직을 할지 영화를 할지......

부모님은 빨리 취업하시길 바라구...(참고로 거기다 전 장남이라....고민이 안될래야 안될수가 없더군요...)

지금 제가 25인데 정말 한 3주 정도 고민되더라구요.....(이런 적이 없었는데.....정말 진지해지더라구요...ㅠ)

인생에 있어 가장 중요한 전환점인듯 하네요......ㅡㅡ

제가 지금 공대생입니다....3학년 재학중이고요.....

예전에 고등학교 졸업하고 연극영화과 셤 봤드랬죠....단대, 경희대, 서울예대 등등.......

근데 제가 연출 전공 하고 싶었거든요....수능 점수가 안되어서 다 떨어졌었거든요.....정말 미련이 많이 남았어요...

그렇게 공대생이 되어 군대 다녀오고 하다보니 3학년이 됐거든요.......

근데 이렇게 살다가 안되겠다 싶은 생각이 들더라구요......

연극영화과 편입이 넘 하고 싶어서요.............

영상원이라든지...다시 수능보기엔 1학년부터 다시 다녀야 되니깐 부담이 되더라구요.....(학비, 시간 등)

또 집안이 넉넉한 것도 아니고.........

집에서도 반대할게 뻔하고......멀쩡하게 3학년 다니고 있는데 다시 재입학 한다고 하면.....ㅜㅜ

그래서 제가 편입을 생각하게 됐습니다.......한대랑 동대가 목표구요......

근데 일단 제가 연영과에 대한 지식이 거의 없어서요......님들한테 좀 여쭤볼까 해서 글 남깁니다.....

고민을 하더라도 좀 알아야 될 필요가 있는거 같아서요.

과연 연영과가 많은 도움이 되나요??

연영과 나와도 바로 연출부로 갈 수가 있나요..?? 그리고 연출부가 되어도 조감독 정도 되려면 보통 얼마나 걸리는지 궁

금합니다......

제가 씨네21에서 나온 영화감독사전 봤는데 연영과 나온 분들이 많더군여.....

아니면 유학파이든가......영화아카데미 출신이든가.......

암튼 님들 인생선배로서 조언 좀 해주십시오....정말 저에겐 중요한 문제입니다......

그럼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여러분들 모두 성공할겁니다~~!!^^;
jin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hermes
2005.07.11 08:12
많은 고민을 하시는것 같아 답변을 안하려다가 합니다.

연영과 나오면 연출부 바로 시켜주는데도 있고 안그런데도 있습니다.
연영과 나와도 아카데미 나와도 영상원 나와도 유학다녀와도. 네 연출부 작가 다 하실수 있습니다. 그런 배움의 터 안에서 작게라도 영화를 만들어본 경력이 있고 그 영화가 꽤 괜찮은 부분이 있으면 감독도 바로 할 수 있습니다. 시나리오를 잘써도 2~3년 안에 감독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중요한건 그런데 안나와도 할 수 있습니다. 제 생각엔 공대 우선 졸업하세요. 그리고나서 영화만드는곳 또 갈 수 있습니다. 학교 아닌곳에서도 영화 만드는곳 많이 있습디다. 그런데 안가도 크게 문제 될것 없습니다. 이게 제 조언이구요. 무엇보다 본인의 의지가 굉장히 중요합니다. 재능도 물론 중요한데 그건 아무도 모르니까 님이 한번 냉정하게 생각해보세요. 습작을 통해서나 본인만이 알 수 있는 분석력이나 영화적 상상력 같은거를 친구들과 한번 점검해보시구요.
집에서 님을 수년동안 뒷받침 할 수 있는지도 중요합니다. 아르바이트 하러 다니면 되지만 그 만큼의 시간이 또 필요하니까요. 하루 벌어 하루 시나리오쓰고 4달 벌어 4일 촬영하고 ... 그런식입니다. 보통은. 집에서 쫒겨난다면 말이죠
그리구 노는때가 굉장히 많습니다. 연출부를 하신다면 한 작품 하고 나서 한달후에 다른 작품 하고 그런게 아닙니다 - 연출쪽은요. 한작품 1년 정도 기다려서 한 8달 일하고 다시 한 1년 놀고 그런식이라서 시간이 많이 남습니다.
운 좋은 경우가 아니라면 2~3작품 연출부 경력을 쌓고 나면 한 5~6년은 갈겁니다. 아무거나 막하면 2년에 3작품 정도도 할 수 있지만 그런식의 작업은 별로 의미가 없습니다. 돈을 크게 버는것도 아니고 경력이 남는 경우도 흔치 않거든요. 예를 들어서 연출부 경력이 3작품인데 그 경력이란게 - 긴급조치19호 조폭마누라2 낭만자객 - 이런 영화들이라면 어떨까요 ? 굉장히 가벼운 영화 만들기의 표본이 되는 영화들인데 그런 영화들을 따라서 배우다 보면 본인도 모르는 새에 그런 영화만들기에 길이 들게 됩니다. 또 다른 예로 5~6 년 걸려서 경력을 쌓았는데 그 영화들이 - 공동경비구역 JSA. 파이란. 오아시스 - 이런 영화들이라면 어떨까요. 보는 만큼 배우는 경우가 보통이잖아요. 그냥 경력을 쌓는다고 아무거나 막 하지는 말라는 애기이구요. 사실 좋은 과정을 경험할수 있는 곳에서 경력을 쌓는일도 중요합니다.그래서 나름대로 작품을 고르다 보면 시간이 많이 남고( 소위 백수생활) 그 사이에 본인의 작업을 해야 겠지요. 시나리오를 쓰든지, 단편을 찍든지 하면서 아르바이트도 하고... 그게 생각보다 많이 힘듭니다. - 에고 길어졌네요. 아래댓글은 더 긴데 안봐도 됩니다.
----------------------------------------------------------------------------------------------------------------
사실은 지금 님이 생각하시는 그 멀고도 험함의 100배 정도 생각하시면 될겁니다. 세월도 한 10년정도 걸린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과장없이. 10년 걸려도 데뷔 아직 못하신 분들도 많습니다. 그리고 그 약 10년 정도의 시간동안 버는 돈은 님이 직장에 취직해서 일년 연봉 받는것 정도 생각하시면 됩니다. 우리때는 그랬습니다. 조금 더 나아졌다면 2년 정도 연봉이라고 하죠. 돈은 둘째고 자신의 재능이 의심되는 시기가 오게 됩니다. 살리에르는 모짜르트라도 보고 절망했지만 보통의 영화감독 지망생들은 모든 입봉 감독을 보고 절망합니다. 비디오 가게를 하더라도 데뷔라도 해보고 죽자 니미~ 이런말이 절로 나옵니다. 집이라도 있으면 모를까 연출부들 한테는 은행에서 대출도 안해줍니다. 무슨 돈으로 비디오가게를 차립니까. 그것도 요즘은 다 망하던데. 그럼 장사(? 무슨장사, 노점상도 언감생심)를 하던지 택시를 몰던지 또는 .. 모든 종류의 영업사원이나 ... 별로 할것이 없습니다. 영화감독을 하려다가 못하게 되는때에는 그야말로 노숙자 신세 이상도 이하도 아닙니다. 농담이 아닙니다. 님도 아마 영화감독이 되겠다는 맘 하나로 고생하시다가 어느덧 40이 바라보는 나이를 맞게 될지도 모릅니다. 해 놓은것 정말 아무것도 없이 말예요. 조용필 노래중에 - 사랑이 외로운건 운명을 걸기때문이지 모든것을 거니까 외로운거야 - 라는 말이 있습니다. 영화도 그거랑 똑같습니다. 저는 지금 경쟁자 하나를 떨치기 위해서 이런글을 쓰고 있는건지도 모릅니다. 이 말도 농담이 아닙니다. 그만큼 힘듭니다. 글쎄요 운전면허도 국가고시이지만 검사 변호사 숫자보다는 영화감독 숫자가 적을것 같네요. 무슨말인지 아시겠죠 ?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류가 만들어낸 위대한 영화들과 소설들과 시와 음악과 그림과 세상의 이야기들을 접하고 60억 인구의 고통스럽지만 살아볼만한 인생에 대해 많이 느끼고, 느끼고, 또 느끼고 만들어 보고 공부하고 절망하고 하다보면 영화 하나쯤 만들기가 뭐 그리 어렵겠습니까. 아마 지금 영화를 만들고 있는 한국영화감독들 다 갈아치우고 투자자들 다 갈아치우고, 배우들 다 바꾸고 해도 지금 정도의 영화들은 얼마든지 또 만들어 질겁니다. 그 사람들이 더 잘나서 감독이 되거나 한건 아니니까요. 글쎄요. 어떻게 해야 감독이 될까요. 본인이 열심히 하고 적당한 운이 따르면 되지 않을까요. 저는 그렇게 생각합니다. 그 과정에서의 힘듬을 극복할수만 있다면 말이죠. 문제는 그 과정인데 .... 모두들 그 과정의 힘듬만 너무 걱정하는것 같습니다. 어찌보면 이건 할꺼냐 말꺼냐의 문제이기도 합니다. 저 남자가 혹은 저 여자가 나를 좋아할까. 중간에 바람피지 않을까 ? 아냐 저 사람이 더 멋있는것 같아. 쟤가 더 잘해줄꺼야. 데이트 비가 많이 들까? 저 남자 저 여자 한사람에게만 만족할 수 있을까 ? 고민하다 보면 이미 끝나죠. 시작도 못해보고. 하고 싶으면 하십시오. 인생은 저지르는 자의 것이라고 누가 그랬는데 그 말 맞는 말입니다. 해봐야 되든지 안되든지 할텐데. 해보지도 않고 망설이기만 하면 어떡합니까. 하되 그 과정이 굉장히 힘들다는것만 알고 하시면 됩니다. 왕도가 없지요. 물론 있는 애인도 다 도망간다고 보시면 됩니다.
충분한 답변이 되었는지 모르겠습니다. 열심히 하셔서 행복한 날들을 맞으시길 바랍니다. 여기 있는 모든 분들도 !

꿈은 이루어지겠죠.
그런데 정말 꿈만 꾸면서 안정된 삶을 사는것도 좋습니다.
적당히 안정된 직장과 사랑하는 동반자와 지내면서 좋은 영화 많이 보고 울기도 하고 가끔 시나리오 응모도 하고
용돈 모아서 좋은 DV 장만하고, 가족을 배경으로 또는 친구들을 데리고 작은 영화 찍어서 같이 보면서 좋은 안주랑
술한잔 하고.... 그런 삶도 괜찮을것 같습니다. 주변 분들도 크게 힘들지 않고 말이죠. 좋잖아요 ?
세상의 모든 좋아보이는 것들은 독이 있습니다. 그걸 알고 있는 분이시겠지만

죄송합니다. 오늘은 말이 많네요.
hermes
2005.07.11 08:21
이거 게시판이 이상하네요. 수정이 안됩니다. 오해의 소지가 있을곳이 있어서 수정합니다.

이 부분 -> ( 비디오 가게를 하더라도 데뷔라도 해보고 죽자 니미~ 이런말이 절로 나옵니다. 집이라도 있으면 모를까 연출부들 한테는 은행에서 대출도 안해줍니다. 무슨 돈으로 비디오가게를 차립니까. 그것도 요즘은 다 망하던데. 그럼 장사(? 무슨장사, 노점상도 언감생심)를 하던지 택시를 몰던지 또는 .. 모든 종류의 영업사원이나 ... 별로 할것이 없습니다. 영화감독을 하려다가 못하게 되는때에는 그야말로 노숙자 신세 이상도 이하도 아닙니다. )

저 일을 하시는 분들을 폄하하거나 하는 의도는 절대로 없습니다. 저 분야의 일들은 영화 연출부나 작가일을 하다가 아무때나 할 수 있는 그런일들이 아니라는것 알고 있습니다. 저도 직장을 다녀봤지만 어쩌면 우리가 보기에 평범해 보이는 직장을 다니시는 분들이 우리보다 더 고되고 힘들고 더 가치 있는 일을 하는 분들이 대다수일겁니다. 그렇게 믿습니다.
오해의 소지가 있어 수정합니다.
Profile
guralsl21
2005.07.16 19:15
참고로 저는 자동차정비 잘 하고있다가 때려 치우고 무작정 상경해서 힘들고 서러운 고비를 무사히 잘 넘기고

지금은 배우라는 수식어를 이름앞에 자랑스럽게 달고 다닙니다.

힘내시기를...
글 등록 순으로 정렬되었습니다 글쓴이 날짜 조회
취조실이 나오는 영화. munlion 2005.07.07 1804
음악과 관련해서 할수있는일이 뭐가있을까요?? 1 gkdisskfksm 2005.07.07 3767
16mm 수중 촬영에 대해서- munlion 2005.07.07 1763
카메라가 유리창을 뚫고 나오는 장면은 어떻게? 2 yanada 2005.07.08 1784
엘리베이터씬에서 조명은 어떻게?? 1 creator21c 2005.07.08 1694
이번에 한예종 영상원 영화과 시험을 한번 볼려는 학생입니다.. 1 kangminshin 2005.07.08 7397
비 오는 날 촬영에 대한 질문입니다. 2 chory23 2005.07.09 1982
제건방진질문에답변부탁드립니다 4 buckeye87 2005.07.10 3741
다큐멘터리 제작과정이 어덯게되나요?? bik1101 2005.07.10 1820
미국에서 활동하고 있는 한국인 감독이 계신가요? 2 buckeye87 2005.07.10 1562
고민이 있어서여~진로에 대한......그리고 연영과에 대해서 질문이여......^ 3 leojin 2005.07.11 4117
영화 쉬리에 나오는 것 같은 하얀벤치를 구합니다 bbung23 2005.07.12 2139
드라마에 관한 질문입니다. 1 jslee3777 2005.07.12 1671
재미있는 법정영화 무엇이 있죠? 6 parkbing 2005.07.14 1769
블루스크린 관련 질문입니다. 1 cinema0623 2005.07.14 2072
제작비면에서 HD와 35mm의 차이를 알고싶습니다 4 nalalaz 2005.07.14 1863
조그마한 스튜디오를 만들어볼 생각입니다. nescafe 2005.07.14 1911
M1 소총을 구합니다. 1 tictectoc 2005.07.14 2767
시나리오를 쓸때 폰트 같은것... 4 choi9006 2005.07.14 6464
단편영화제/시나리오공모전 연간 일정 좀 알수 잇을까요? 2 excova 2005.07.16 1805
이전
88 / 753
다음
게시판 설정 정보
댓글이 달린 게시글은 수정/삭제 불가
답글이 달린 댓글은 수정/삭제 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