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게시판
15,046 개

모르는게 있으면 물어보고, 아는게 있으면 가르쳐주고...
질문은 최대한 자세히 성실하게, 답변은 친절하고 다정하게

[질문] 감독료와 각본료는?

lizard
2001년 07월 11일 23시 29분 27초 3890 1
물런. 상황마다 다를 수도 있지만 평균적으로 받는 감독료가 얼마

쯤 되나요? 그리고 연출부들의 식구들은 또 얼마를 받게 돼는지 알

고 싶습니다.

신인감독은 얼마를 받는지요? 이번에 데뷰하것 같은 새내기 감독입

니다. 미국에서 공부하고 늦지 않은 나이에 시나리오를 여러편 썼

고 이제 관객들과 만날 예정인데. 사실 단편 연출할때 촬영부나 연

출부들의 힘든 상황이라는것 다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힘든 상황

에도 불구 하고 PAY는 정말 형편없더군요. 물런 새내기 감독이 제

작자에게 무리한 ( 한국의 연출료에 대한 틀)을 벗어나긴 힘들겠지

만 하나씩 하나씩 뭔가 젊은 감독으로써 한국영화의 기본 틀을 조금

씩 바꾸어 나가도 싶은마음입니다. 예를 들자면 하루 13시간 계약

직 영화의 틀. 그리고 윗 대가리들만 배부르는 그런 후진국같은  제

작환경, 이런것들이 더 빨리 나갈수 있는 한국영화를 좀먹고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지금 당장 뭘 어떻게 하기는 아직 힘들지만

앞으로...하나씩 하나씩 도전해볼생각입니다. 제가 받는 감독료를

나눠서라도 같은 식구, 저를 위해서..영화를 위해서 뛰어주는 연출

부에게 힘이 되고 책임감을 주면서 영화를 만들고 싶습니다.

남 100원 주기 아까워 1000원을 잃는 현실이더군요.

한마디로 영화가 더 잘되고 더 재밌는 환경, 그리고 연출자와

연출부들 그 외 모든 스텝들이 끝나고 진심어린 악수하면서 진정하

게 서로 수고 했다는 한마디로 한 편의 영화를 끝내고 싶더군요.

물런, 돈을 어떻게 해주느냐가 1번 째 문제는 아니겠습니다만

일단 일 한만큼의 수당은 당연히 받아야할것입니다.

우선, 제가 들은 이야기로는 다들 감독료가 틀리더군요. 그럴수 밖

에 없겠지요. 정확하게 책정되있지 않으니까요. 그러니 연출부나 기

타 스텝들은 주먹구구 식으로 더 하곘죠?

그래서, 여기에 많은 여러분들이 계신데 같이 모시고 계셨던 혹은

모시고 계신 감독분들의 연출료, 신인 감독료, 그리고 각본료. 그리

고 각본하고 감독을 같이 할경우의 pay는 어떠한지요. 알고 계신

분들이 다 대답을 해주신다면 평균적인 액수를 뽑을수 있을것 같은

데요. 그리고 콘티 즉, 스토리보드하는 분들의 액수는 얼마인가요?

제가 스토리보드 까지 하니까요.  그럼 고른 답변 부탁드리겠습니

다. 특히, 조연출, 연출부2,3, 스크립터, 콘티작업자, 등등...좀 알려주시겠읍니까..

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arang
2001.07.12 01:49
신인감독인 경우 작년인 경우 최소 2000만원이라고 들었습니다.
(물론 작품의 규모에 따라 적을 수도 많은 수도 있구요)
단편영화 등 경력과 시나리오를 직접 쓰셨다면
3000이 되겠죠? 아마.
1500만원 정도로 러닝 개런티로 갈 수도 있구요.
거기에 보통 감독들은 각색을 하니까 각색료를 따로 받지요.

두번째 작품은 5천만원 가까히 된다고 알고 있습니다.
한국에서 두번째 작품을 들어간다는 것은 흥행작 감독이니까요.
그리고 A급 감독은 1억 가까히 된다는군요.
장선우 감독님 경우 [성냥팔이 소녀의 재림] 감독료가 6억을 넘게 받았다는 얘기를 들었습니다.
거기에 법인 골드 카드를 사용하면?

각본료는 2000-3000만원.
물론 다른 사람이 각색이나 윤색을 한다면 그 비용은 따로죠.
콘티는 300만원 이상인데 현장에서까지 계속 수정 작업을 한다면
훨씬 더 받아야겠죠.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감독이 콘티를 직접 그리는 것은 반대입니다.
물론 자기가 생각하는 것을 그대로 그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감독이 각색 작업 등 다른 작업으로  현장에 가기도 전에
진이 빠진다면 문제가 되잖아요.
그리고 감독은 다른 전문 스텝의 능력을 잘 이끌어 내어 사용하는 것이
큰 능력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글 등록 순으로 정렬되었습니다 글쓴이 날짜 조회
사진이나 영상으로 할 수 있는 부업이 뭐가 있을까용? 9 자라나는찰칵 2023.12.12 47810
막내로 들어가고 싶은데 이력서를 어떻게 써야할까요 1 yooup 2024.05.11 47716
[품앗이] 3/9 or 10 중 1일 짧은 바다영상 촬영감독 구합니다. 3 바다와체육관과라켓과조개껍질의공통점 2024.03.05 47454
해외촬영시 장비, 통관 등 질문 드려도 될까요? fastwhale 2024.04.25 47411
연기 스터디 개설 문의 멋과풍류를아는쾌남 2023.12.11 47312
메이킹 팀, 스틸 팀 이 궁금합니다 16 레전드남자 2024.03.15 47288
시나리오 요즘은 어떻게 컨택하나요? 1 뒤돌려차기 2024.04.25 47201
단편영화 제작지원 지원서 Difoo 2024.04.15 47100
조명팀 구직 1 433 2024.03.09 47098
안녕하세요 . 혹시 로케이션 계약서 양식 있으신 분 공유 가능하실까요? 바다가좋아 2024.04.16 46956
선배님들! 제주도 촬영 시에 필요한 업체 도움 부탁드립니다! (발전차, 물탱크) 마요에이요 2024.05.10 46895
드론촬영쪽으로 진입하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하나요 1 lwj 2024.03.09 46891
조명이 없이 촬영했는데 후편집으로 해결할 수 있을까요? 4 2024.05.28 46806
사운드 후반작업 질문 있습니다! 2 무인 2024.04.16 46781
촬영용 경찰차 가격 허경영장발부 2024.04.05 46727
braw 파일이 프리미어 프로에서 열리지 않습니다... 2 Dksdogkr2 2024.05.10 46681
촬영보조, 촬영팀 같은 구인구직은 어떻게 할 수 있나요? 스벅그린티 2024.06.09 46632
캐스팅 관련 연 2 이주비 2024.04.08 46631
임권택 영화과 좋나요? 3 초보에서은퇴까지 2023.05.29 46624
마이크 4대 이상 사용 시 가장 효율적인 녹음방법이 무엇일까요? 1 y37 2024.04.17 46570
이전
8 / 753
다음
게시판 설정 정보
댓글이 달린 게시글은 수정/삭제 불가
답글이 달린 댓글은 수정/삭제 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