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게시판
15,040 개

모르는게 있으면 물어보고, 아는게 있으면 가르쳐주고...
질문은 최대한 자세히 성실하게, 답변은 친절하고 다정하게

질문! HD 영화에 대해서...

audreyburger
2002년 01월 30일 16시 37분 02초 2179 3

HD영화에 대해서 상세히 아시는 분들은 글 좀 올려주시길...
기초적인 사항에 대해서 조언을 듣긴 했는데, 그것으로는 부족한 듯 해서여. 제 이해력의 문제도 있으니 좀 친절한 답변을 기다립니다.

현재 <R U Ready>가 그렇게 작업하고 있다니 그 작품에 참여하시는 분께서 리플을 달아주신다면 더할나위 없이 좋겠구여. 그 밖에 HD 영화에 대해 알고 계신분들........................... 기다리겠습니다.

감사! 드리구여.

그럼, 이만...
* 제다이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2-03-17 18:25)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kine4u
2002.02.07 04:30
저도 깊숙한 지식이 있는건 아니구요.
그냥 아는 범위내에서 가능한 쉽게 설명을 드리자면
HD카메라는 그저 성능이 좋은 캠코더라고 얘기할 수 있겠네요.
필름은 빛의 감도를 필름으로 받아들이죠.
그런데 HD카메라는 CCD(촬상관)이라고 하는
전자적인 처리를 통해 피사체를 TAPE에 기록합니다.
방송용 카메라나 캠코더들 모두가 이런 원리를 이용한거죠.

같은 원리이긴 해도
HD는 기존의 카메라들에 비해 4배가량 화질이 좋습니다.
즉 기존의 카메라로찍은 데이터를 필름으로 만들어
영화관의 대형스크린에서 상영을 해보면
화면이 많이 거칠고 손상되어져 보입니다.
하지만 HD로 찍은 영상을 대형스크린으로 보면
때에 따라서는 영화보다 더 선명한 화질을 감상할 수 있지요.

음~ HD24P, 60i라는 말을 들어보셨는지요.
HD카메라도 한 가지가 아니에요.
그 중 영화를 위해 새로 개뱔된것이 HD 24P인데요.

TV는 1초에 30장 이고 영화는 24장인 것은 아시죠?
사실은 그 30장도
1장 당 2개의 면(쉽게말해)으로 쪼개어져서 이루어져 있어요.
그냥 보기에 차이는 없지만
미묘하게 다른 2장의 그림이 빠르게 포개져서
1장의 그림을 이루고 있다는거죠.(interace)

거기에 비해 필름은
완전히 독립된 1장의 그림으로 1프레임을 이루고 있으니
더 선명할 수 밖에요.
그래서 개발된것이 ~~P 방식이고,
영화와 같은 초당 24장을 찍도록 만든 HD 24P 가
만들어진 것입니다.
조지루카스나 윤상호 감독(RU-READY?)는
이것으로 영화를 만들고 있구요.

편리한 점도 많다고 해요.
일단 필름을 안쓰고 HD용TAPE만 갈아끼우면 되구요.
조명도 필름보단 그 필요량이 많지 않다는군요.
어느정도 까진 CCD에서 전자적으로 조절을 해주니까
그런거 아닐까요.

하지만,
HD카메라의 CCD가
아무리 편하고 선명한 화질을 제공한다 하더라도
민감하고 예민하고 정직해서
우리를 힘들고 어렵게 하는 필름이라는 분이 주는 오묘한 느낌은
아직 따라올 수가 없는것 같아요.

HD카메라를 연구 개발하는 사람들도
끈임없이 여기에 대한 노력을 하고 있는데요.
렌즈에 의한 깊이감
라이팅에 의한 입체감
노출에 의한 오묘한 분위기 차...
이런 저런 면에서 아직 힘든 문제가 있는것 같아요.

제가 제대로 알고썼나 모르겠는데요.
맞건 틀리건 나름대로 알고있는 내용의 일부입니다.
audreyburger
글쓴이
2002.02.08 13:36
아~! 리플 감사합니다.

얼마전 필름 2.0에서 HD MOVIE에 대해 특집으로 다뤘더라구여. 제 바람을 알았는지........
암튼 조금씩 HD에서 대해서 관심을 모으고 있는 것 같네여.^^
fxline
2002.02.27 12:43
HD...
여러가지 방식이 공존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는 보편적으로 소니제품을 사용하지만, 머지않아 필립스와 아리에서 공동제작되는 방식을 선호할 것 같습니다. 소니에 비해 3-4배 정도의 고해상도를 만들수 있다고 합니다.
디지탈 도메인쪽의 표현을 빌리면, 화질이 너무 좋기때문에 필름과 어울리는 영상을 만들기위해 모래효과를 줄 수 밖에 없는 입장이다.... 지금의 디지털은 필름의 입자를 뛰어 넘고있다.... 라고 말 하고있구요...
필름쪽 업계에서는 프레임 수를 높여서, 화질을 올리려는 시도도 있답니다. 평상시는 30프레임으로, 빠른 동작일때는 필름 가장자리 부분에 코드를 삽입하여, 영사기와 동조해서 50-60까지 조절하면 좋을것 같다라는 의견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 HD로 촬영을 하게되면 너무많은 단점과 부딛치게 될걸로 감히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일단 랜즈특성과 태양광 아래에서의 단점을 들수있구요.... 데크편집이 아닌경우 비싼 1:1 장비를 사용해야함은 물론이고, 필름으로 키네코하는 비용또한 장난이 아닐것이기 때문 입니다.
그 이외에도, 조명 부분의 세심한 주의와 촬영장비의 세심함도 무시못하겠죠...
앞으로의 영상은 많은 부분이 디지털로 바뀌어 갈 겁니다. 미국의 COBALT 라는 회사에서는 아이맥스 영화를 디지털로 촬영하는 장비를 만들었고, 입체의 실험에도 성공했습니다.
국내에서는 1차적 접근에만 관심을 표명하지만, 디지털의 세계는 아날로그의 발전과정 만큼이나 많은 노하우를 필요로 할것 같습니다.
글 등록 순으로 정렬되었습니다 글쓴이 날짜 조회
미술팀은 보통 사업자등록코드 뭘로하나요? mswake 2024.05.05 40282
raw로 사진 촬영 후 대형 사이즈 프린트 3 자라나는찰칵 2024.02.02 40253
카메라팀 막내 이마까라 2024.02.18 40179
영상편집자, 디자이너 진로 고민입니다 ㅠㅠ 1 윤효섭 2024.02.16 40083
분장 포트폴리오 질문 드립니다 1 랑구리 2023.12.07 40009
영상업계 진로 고민입니다 1 김동주 2024.06.06 39982
초보자에게 도움이 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초이스필름 2024.02.22 39948
촬영 퍼스트분들이 초점거리 물어볼 때 5 나랑드구구콘 2023.08.02 39907
조명,음향 감독님, 배우님 페이 6 신촌호 2024.02.13 39814
해외 영화계 취업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가요? Coi123 2024.04.21 39743
연출부 알바 구하는법? 1 잘부탁드립니다1 2024.03.17 39671
한국예술원 영화/드라마 음향 과정 음향감독폴리아티스트되고싶어요 2024.02.01 39621
촬영 특수안전관리 업체 구합니다. 김승규 2024.02.02 39506
촬영/연출 등 배우고 있는 대학생입니다 3 320 2024.04.20 39423
영상 백업할때 용량이 커서 안옮겨지는 경우 tou567890 2024.02.02 39422
진로 고민.. 들어주실 분 계신가요 ㅠ 4 와포에 2024.04.01 39373
해외로케이션(중국, 한국호스트)은 정보공유 사이트가 따로 있나요? 수유342 2023.12.09 39314
영화 만드는법 1 핑크맨 2024.02.29 39246
외장하드 용량 관련… 5 기면 2024.04.23 39245
단편영화 촬영 장비 관련 4 3:15 2024.02.23 39238
이전
13 / 752
다음
게시판 설정 정보
댓글이 달린 게시글은 수정/삭제 불가
답글이 달린 댓글은 수정/삭제 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