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게시판
15,045 개

모르는게 있으면 물어보고, 아는게 있으면 가르쳐주고...
질문은 최대한 자세히 성실하게, 답변은 친절하고 다정하게

DAT 사용법 관련

rno21
2003년 09월 14일 01시 10분 21초 3457 2
갑작스레 16mm 단편 녹음을 맡게 되었는데요
dat는 전혀 다뤄보지 않아서 잘 모르거든요
간단하게라도 사용법 또는 녹음시에 주의할 점을 알려주세요.
-.-;;; 죄송. 질문이 너무 황당하죠?
발등에 불이 떨어져서요. ㅠ.ㅠ 도와주세여 -.-;;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khjcj
2003.09.14 02:17
 
제가 가지고있는 자료를 올려드리게요. 참고하세요.

DAT(Digital Audio Tape Recorder)

Ⅰ.  서 론
Ⅱ.  디지털 오디오란?
Ⅲ.  PCM(Puls Code Modulation Recording System)은 무엇인가?
Ⅳ.  DAT란?
1.  메커니즘에 따른 R-DAT의 분류
2.  R-DAT의 특징
3.  R-DAT의 기록․재생 기술
4.  에러정정 부호와 인터리브
5.  고속 서치서보
6.  녹음 허용
Ⅴ.  MD(Mini Disc) & DCC(Digital Compact Cassette)
1.  MD(Mini Disc)는 어떤 것이고 일반 대중용 디지털 녹음․재생기와 어떻게 다른가?
2.  DCC(Digital Compact Cassette)란 무엇이고 디지털 녹음․재생기와 어떻게 다른가?
Ⅶ.  R-DAT가 아날로그녹음기와 다른 점
Ⅷ.  결 론

Ⅰ.  서 론

Tape Recorder의 발명은 레코드 재생의 음질을 비약적으로 향상시켜 소프트 산업의 발전에 크게 공헌했다. 또 보다 완전한 소프트의 제작과 장기 보존에 빼놓을 수 없는, 말하자면 레코드 산업의 가장 중요한 기기 중 하나가 되었다. 디지털 방식의 원리는 이미 1938년 프랑스의 리브스에 의해 발명되었으나, 이것을 실현하는 데는 방대한 규모의 전자 회로와 넓은 주파수 대역이 요구되는 전송 때문에 결국 고집적도(高集積度)의 반도체 소자(LSI)가 출현하기까지 기다려야만 했다.  부호를 기록하는 데 있어서도 오디오용 Tape Recorder에서는 어려워 광대역 녹음․재생이 가능한 VTR이나 얇은 막의 헤드 제조 기술이 출현하고서야 비로소 가능하게 되었다.

DAT는 소형․경량과 간단한 취급을 전제로 일반 수용자들에게 본격적으로 보급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세계적으로 규격이 통일돼 상품화되었다.  이로써 일반 가정에서도 스튜디오 못지않은 음질로 녹음․재생을 즐기는 것이 가능해진 것이다.

Ⅱ.  디지털 오디오란?

외부의 음파가 마이크와 같은 입력기기를 거치면 연속적인 전압차를 갖는 전자신호로 변환된다.  음파의 변화량과 전자신호의 전압 변이량은 서로 상응한다.  아날로그 녹음기의 녹음헤드는 이 신호를 자성체의 테이프 위에 자기의 변화로서 기록한다.  그러나 디지털 녹음기는 이 전압 변이를 자기가 아닌 연속된 이진수의 번호들(1과 0)로서 기록한다.  이것이 아날로그 녹음과 디지털 녹음의 가장 큰 차이점이다.  그리고 디지털 녹음기의 부품 중에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기기를 'A/D 컨버터'라고 일컫는다.  아날로그 음파를 디지털 신호로 녹음/변환하는 일을 일반적으로 '샘플링(Sampling)'이라고 한다.  디지털 녹음 방식은 아날로그 녹음 방식에 비해서 잡음이 없고 데이터 편집이 수월하다는 장점들이 있지만 한가지 단점이 있다면 음파의 손실이 있다는 것이다.

디지털 녹음기는 그 특성상 소리를 모자이크 그림처럼 작은 데이터 단위로 쪼개어 녹음한다.  특히 소리의 진폭(음량)을 연속적으로 표현하지 않고 단계별로 측정/표현할 때 이러한 정도를 '샘플비트(Sample Bit)'라고 한다.

만약 어떤 사람이 '도'라는 음을 발성하였다면 8비트 방식은 이것을 256 개의 음분해도로 갖는 값으로 녹음한다.  그렇다면 16비트는 이보다 두 배의 음분해도를 가질까? 그렇지 않다.  그보다도 훨씬 더 많은 값인 65,536 개의 음분해도로 녹음하는 것이다.  따라서 8비트보다는 16비트의 음이 더 섬세하고 부드러운 소리를 낸다.  그리고 보통 16비트 정도의 분해도라면 사람의 귀로 듣기에 아무런 거슬림이 없기 때문에 오디오 CD에서 사용하는 방식이기도 하다.  사람이 처음에 발성한 '도'라는 음은 무한비트에 가까운 아날로그 음성 신호이며 이것을 8비트나 16비트 등으로 숫자화하여 표현하는 것이 디지털 음성 신호이다.

그러면 11kHz나 44kHz라고 말하는 것은 무엇일까? 이것은 샘플 비율(rate)이라고 하는데 소리를 1초 동안 몇 번 측정(녹음)했는가를 의미한다.  비트가 어느 한 순간의 음성 주파수의 진폭(높낮이)의 분해도를 나타내는 것이라면 샘플 비율은 1초 동안의 주파수의 길이에 대한 분해도라고 생각하면 된다.  모자이크 그림이 한 장 있다면 이것은 정지화상이다.  그런데 조금씩 변화하는 여러 장의 그림들이 우리 눈 앞에 보여진다면 동화상이 될 것이다.  이것은 영화의 원리이기도 한데 보통 영화는 1초에 24장의 사진을 보여주는 24 프레임 방식을 많이 사용한다.  그래도 우리는 아무런 지장 없이 영화감상을 할 수가 있는데 소리는 이와 달라서 더 많은 프레임을 요구한다.  오디오 CD에서는 자그마치 44,000장의 프레임을 사용한다.  이 때를 우리는 '44kHz로 녹음되었다'라고 말한다.  만약 11,000장의 음성 프레임 형태라면 11kHz로 녹음된 것인데 그만큼 음질이 상대적으로 떨어지지만 대신에 데이터량이 감소한다는 이점이 있다.  현재 시중의 오디오 CD 등에서 사용되는 최고의 음질은 16비트 44.1KHZ로 녹음된 것이 일반적이며 DAT(Digital Audio Tape) 장비에서는 최고 48kHz까지 녹음할 수도 있다.

소리는 우리의 눈에 보이지 않으며 단지 우리의 귀에 있는 고막을 진동시키는, 일정한 진동수를 가진 공기 중의 파동일 뿐이다.  따라서 우리는 그것의 모습을 파악하거나 그릴 수는 없지만 그 몇 가지 특성들(주파수, 주기, 시간,..)을 숫자화한 후 이것을 그래프로 나타낼 수는 있다.

녹음이 완료된 샘플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은 녹음의 과정을 거꾸로 진행시키는 것과 같다.  먼저 하드 디스크에 숫자들로 저장되어 있는 샘플 데이터를 사운드 카드의 DAC(Digital-to-analog converter)에 보낸다.  그러면 DAC에 의해서 이 숫자들은 연속된 전압 변이의 형태로 변환되어 소리의 원형처럼 부드러운 형태로 윤곽이 잡히고 다시 로우 패스 필터(Low-pass-filter)라는 장치에 의해서 좀 더 매끄러운 형태가 된다.  이것이 앰프와 스피커를 통하여 우리의 귀로들을 수 있는 아날로그 신호가 되는 것이다.  (샘플의 재생)

디지털 녹음은 나름대로의 장점들도 많지만 그렇게 완벽한 것만은 아니다.  앞에서 배운 바와 같이 연속적인 아날로그 신호를 비연속적이지 않은 2진수의 데이터로 변환하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피할 수 없는 문제점들이 있으며, 또한 녹음 작업 시 꼭 유의해야 할 사항들이 몇 가지 있다.  그리고 대부분의 편집 프로그램들에는 그러한 문제점들을 보완할 수 있는 기능들을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그것들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각 개념들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요하다.  (샘플링 작업에서 주의할 점들)


Ⅲ.  PCM(Pulse Code Modulation Recording System)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Tape Recorder로 녹음할 경우 녹음 시의 신호 변화에 대응한 자기변화(磁氣變化)가 테이프에 주어지고 재생 시 자기변화가 전기신호로 바뀐다.  테이프에는 산화철의 분말이 발라져 있어 헤드가 입자에서 입자로 이동할 때 자기의 불연속이 발생하여 잡음이 생긴다.  또 녹음 시에 매우 큰 음이 입력되면 포화상태가 되어 재생 출력 시에 신호선단이 잘려진 형태의 파형이 나타나 찌그러짐이 커진다.

PCM은 위의 결점을 보완, 보다 높은 질의 녹음과 재생을 목적으로 한 것인데 이 방식을 이용하여 레코드를 만들면 다이렉트 투 디스크의 레코드에 가까운 재생음을 얻을 수 있다.  이 PCM의 원리는 녹음하려는 신호를 펄스라는 예리한 파형의 부호로 변환시켜(A/D변환), 그 부호를 테이프에 녹음․재생 시에 자기 테이프의 부호를 전기 부호로 바꿔 변환기를 통하여 원신호로 되돌린다(D/A변환).  여기서 부호가 다소 잡음으로 침범되어도 그것은 부호로서 역할을 할 뿐 원신호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 원리는 꽤 이전부터 컴퓨터 부문에서 많이 사용되어 왔으나 일본 콜롬비아사에서 이것을 오디오분야에서 실용화하는데 성공하여 방송국에서 사용하는 VTR을 이용해서 개발, 레코드 녹음에 활용하고 있다.  요즘은 이것을 디지털 녹음(Digital Recording)이라고 한다.

Ⅳ.  DAT란?

1.  메커니즘에 따른 R-DAT의 분류

⑴ R-DAT(Rotary-head DAT)

R-DAT는 원래 가정용으로 개발되었지만 안정성과 정확성이 인정되어 현재는 방송 프로그램의 제작․송출뿐 아니라 녹음 스튜디오나 영화제작 같은 분야에서 사용되는 가장 보편적인 회전 헤드 방식의 DAT이다.  초창기에는 S-DAT(Stationary-head DAT)도 개발되었는데, 여러 면에서 R-DAT의 우수성이 증명되어 요즘은 거의 이것을 사용하고 있다.  우리가 흔히 DAT라 부르는 것이 바로 이 R-DAT다.

⑵ Video8-DAT(테이프 주행속도 14.345mm/sec, 상대속도 3.8m/sec)

민수용 캠코더의 대명사인 Video8의 장점(8mm 비디오시스템은 광대역 영상신호 기록이 가능 하므로, 기록밀도를 조금만 개선하면 다채널의 오디오 데이터를 손쉽게 기록할 수 있다는 점) 을 살려서, 일부의 프로페셔널 장비 메이커에서는 기존의 8mm 데크 메커니즘으로 8 채널의 오디오데이터를 기록․재생할 수 있는 Video8-DAT를 생산․판매하고 있다.

⑶ VHS-DAT

민수용 VHS(또는 S-VHS) 데크 메커니즘을 그대로 이용한 8 채널 멀티트랙 DAT.  보통 adat라 불리고 있다.

⑷ NT-DAT

NT(Non Tracking)-DAT 포맷은 일반적으로 VTR이나 R-DAT에서 사용되는 CTL 또는 ATF를 전혀 채용하지 않는 독특한 회전헤드 방식의 DAT.  소니에 의해서 개발된 소위「우표 크기」의 초소형 R-DAT.

2.  R-DAT의 특징

⑴ 메커니즘 구성

① 헬리컬 스캔(helical scan)

헤드를 고속으로 회전시켜서 높은 상대속도로 영상이나 음성을 기록․재생하는 기법.
광대역의 영상신호를 좁은 테이프 면적에 고밀도로 기록하기 위한 VTR의 기본 메커니즘으로 사용되어 왔다.  R-DAT도 이 범주에 속하며, drum에 붙어 있는 헤드를 고속으로 회전시켜서 PCM 데이터를 기록․재생하고 있어서 일반적인 VTR과 메커니즘뿐 아니라 이를 제어하기 위한 회로구성도 흡사하다.
R-DAT의 wrap angle은 VHS의 1/2, Video8의 1/3인 90°에 불과하다.  따라서 일반적인 VTR에 비해 테이프가 드럼에 적게 접촉되므로 드럼회전에 의한 테이프 손상이 적고 약한 테이프 장력(tension)으로도 데이터를 충분히 기록․재생할 수 있고 헤드 수명도 길다.

② R-DAT 테이프 구동장치와 메커니즘(mechanism)

R-DAT의 메커니즘과 테이프 로딩의 구성은 <그림2>와 같이 VCR과 같은 실린더(cylinder;회전드럼)에 의해 헬리컬 스캔 방식으로 신호를 기록한다.  또한 실린더는 직경 30mmψ로 기준 되어 있지만 기록 패턴이 동일하게 얻어지면 임의로 직경을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Play 버튼을 누르면 테이프는 카세트 안에서 빠져나와 드럼 실린더에 감긴 후, 핀치 롤라와 캡스턴에 의해 구동된다.  R-DAT용의 실린더는 테이프 주행방향에 대하여 6.23°경사지도록 되어 있으며 A헤드와 B헤드 2개의 헤드가 부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기록신호는 테이프에 대하여 경사지게 기록된다(헬리컬 스캔 방식).  R-DAT의 2개의 헤드는 녹음 및 재생겸용으로 되어 있고, 녹음되었던 이전신호는 새로운 녹음 신호에 의해 중첩기록되는 over-write 방식을 채용하여 자동 소거시킨다.  이 방법은 플로피 디스크와 동일한 방법인데, 이러한 over-write 방식의 채용으로 R-DAT는 소거용 헤드가 필요없다.

⑵ Mode별 기술규격

Cassette Tape Recorder는 테이프 속도나 트랙 수 등이 하나의 방식으로 정해져 있어, 그 이외의 방법으로는 할 수 없게 규격이 정해져 있다.  그러나 R-DAT에서는 용도에 따라 6개의 운용모드가 있어 메이커는 그 중에서 필요한 모드를 선택, DAT에 탑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디지털 기록에서는 아날로그의 경우와 달리 모드가 일치하지 않으면 원음을 정확하게 재생할 수 없다.  <표1>에 R-DAT의 기술규격을 나타내었다.

① 48kHz 모드 : 녹음․재생시의 표준모드(mandatory mode).  48kHz의 샘플링주파수, 16bit 직선 양 자화로 DAT 최고의 특성 확보.  테이프 주행속도 8.15mm/sec로 T-120 테이프로 연속 2시간 녹 음․재생 가능.  일반적으로 말해지는 DAT 성능은 이 표준모드를 말하며, 그 이외는 특수모드 라 할 수 있음.

② 44.1kHz 모드 : 초창기 민수용 DAT에서, CD의 저작권 보호를 위해 디지털․아날로그녹음이 불 가능한 재생전용 모드.  이 때문에 DAT 보급에 역효과를 가져와 최근에는 단 한 번의 디지털 복사가 허용되었다.  업무용 DAT에서는 SCMS(Serial Copy Management System ; 국제기구인 IFIP, RIAA, 그리고 유럽․미국․일분 등의 DAT제조회사들로 구성된 회의에서 민수용 DAT․ DCC․MD의 소프트웨어의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한 IEC 국제표준규격)의 제약을 받지 않으므로 무한정의 디지털 복사도 가능.

③ 44.1kHz-WT 모드 : 44.1kHz의 wide track pitch 모드.  테이프 주행속도가 표준모드의 1.5배인 12.225mm/sec, 트랙폭도 1.5배나 넓다.  재생시간은 T-120 테이프로 80분.

④ 32kHz 모드 : 샘플링주파수 32kHz, 양자화비트수 16bit의 옵션모드.  이 규격의 PCM방송을 기록 하는 데 적합.  민수용 장비에 채용.  기록시간이 표준모드와 동일하면서 주파수 특성에서 다소 부족하고 어떻게 사용될 것인가 다소 의문이 남는 모드.

⑤ 32kHz LP 모드 : 샘플링주파수는 32kHz이지만 12bit의 비직선 양자화로 데이터를 1/2로 압축하 여 장시간 기록․재생.  테이프 주행속도와 헤드드럼의 회전속도는 표준모드의 1/2인 4.075 mm/sec, 1000rpm.  민수용 장비에 채용.

⑥ 32kHz-4ch 모드 : 32kHz LP모드의 테이프 주행속도와 헤드드럼의 회전속도를 표준모드의 규격으로 올려서 4ch 기록․재생이 가능한 옵션 모드.  지금은 거의 사용되지 않음.

각각의 모드로 녹음한 테이프를 다른 모드로 재생하려고 해도 음은 나오지 않는다.  일일이 모드를 살펴보고 스위치를 바꾸는 것도 귀찮다.  DAT는 샘플링 주파수를 읽어낸 다음 그 모드로 자동 전환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녹음 때의 샘플링 주파수나 테이프 속도에 신경 쓸 필요가 없다.

항 목
기록․재생 모드
재생 전용

표 준
(48k 모드)
(44.1k 모드)
옵션 1
(32k 모드)
옵션 2
(32k LP모드)
옵션 3
(32k 4CH모드)
와이드
(44k WT모드)

채널수, CH
2
2
2
2
4
2

샘플링 주파수, kHz
48
44.1
32
32
32
44.1

양자화비트수, bit
16(직선)
16(직선)
16(직선)
12(비직선)
12(비직선)
16(직선)

선기록밀도, kbpi
61.0
61.1

기록밀도, Mbpi2
114
76

비트레이트, Mbps
2.46
2.46
2.46
1.23
2.46
2.46

서브코드, kbps
273.1
273.1
273.1
136.5
273.1
273.1

변조방식
ETM(Eight to Ten Modulation)

에러정정 방식
2중 리드솔로몬 코드

트래킹 방식
AFT(Automatic Track Following)

카세트 크기, mm
AFT(Automatic Track Following)

기록시간, 분
120
240
120
80

테이프 폭, mm
3.81

자성체 종류
AFT(Automatic Track Following)

테이프 두께, μm
13±1μ

주행속도, mm/s
8.15
4.075
8.15
12.225

트랙피치, μm
13.591
20.41

트랙각도
6°22′59.5″
6°23′29.5″

드럼직경, wrap angle
30mm, 90°

드럼회전수, rpm
2,000
1,000
2,000

상대속도, m/s
3.133
1.567
3.133
3.129

아지므스각도
±20°

비 고
표준기록모드
CD소스
대응모드
PCM방송
기록용, 옵션
장시간기록용
1/2속도 옵션
4CH용,
옵션
음악테이프
전용모드


표 1. R-DAT의 모드별 기술규격


3.  R-DAT의 기록․재생 기술

⑴ R-DAT의 기록 방식

R-DAT는 VCR과 같이 회전헤드(rotary head)방식으로 회전 드럼에 부착된 2개의 회전헤드(A헤드와 B헤드)에 의해 기록된다.  <그림4>와 같이 6.23°경사도를 갖고 경사면으로 헬리컬 스캔 방식으로 기록한다.  이때의 트랙 폭은 13.59㎛(0.013591mm)의 미세한 폭으로 기록할 때는 A헤드의 트랙을, 다음에 B헤드 트랙을 교대로 간격을 띄우지 않고 베타기록을 한다.  그러나 트랙간의 cross-talk를 방지하기 위해 아지무스 베타(azimuth-β) 기록이라고 하는 특수한 기록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이 방식은 2개의 회전헤드의 아지무스(방위각)를 변화시켜서 기록하는 방법이다.  A헤드는 <그림4>와 같이 트랙의 폭 방향으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20°틀어서 기록하며 이것을 + 아지무스헤드라고 부르며, 반대로 B헤드는 트랙의 폭 방향으로부터 시계방향으로 20°틀어서 기록하고 이것은 - 아지무스헤드라 부른다.  이처럼 2개의 헤드를 서로 over-lap시키면서 기록주사한다.  또 테이프의 양단에는 고정헤드용의 보조 트랙이 정해져 있으나 현재 이 보조트랙의 용도는 정해지지 않았다.  다른 한편으로 이 보조 트랙은 R-DAT에서 헬리컬 스캔을 안정시키기 위해 만든 공간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⑵R-DAT의 재생

R-DAT는 드럼과 헤드의 테이프 감기 각도가 90° B헤드로 90°, 합계 180°로 360°의 반분만이 감기고 있다.  이 2개의 헤드 출력 파형을 보면 <그림5>와 같이 90°의 간격을 갖는 단속 파형으로 되어 있어, 음이 순간 순간 끊어지는 것처럼 되어 있다.  그러나 DAT는 디지털로 기록되기 때문에 디지털 기록의 장점인 시간 압축이 가능하고 한 헤드의 회전각에 대하여 180°시간분의 신호를 90°시간분만큼 압축하여 테이프에 기록한다.  <그림6>에 그에 따른 기본 개념을 표시하였으며 재생 시에는 한 헤드의 회전각당 90°시간분으로 압축된 신호를 180°시간분의 신호로 재현하여 출력한다.  R-DAT의 신호 구성은 <그림4>의 패턴 구성과 같이 5개의 영역으로 구성돼 있다.

- 서브코드 영역
- ATF(Automatic Track Following ; 자동 트랙킹, 회전헤드에 서보를 걸어서 기록트랙을 정확하게 트레이스하기 위한 기술)영역
- PCM 영역(음악신호)
- 제2 ATF 영역
- 제2 서브코드 영역
각 영역 전후에는 PLL회로를 lock시키기 위한 동기(clock)신호가 기록되어 있다.  ATF 영역이 2개인 이유는 테이프 등에 손상(scratch) 등이 있어서 ATF신호가 끊어져도 다른 한쪽의 ATF신호로 트랙킹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 트랙 등이 휘어 있는 경우에 그 평균값을 만들어 중심위치를 주행할 수 있도록 대응하고 있다.





4.  에러정정 부호와 인터리브

R-DAT는 머리카락의 1/10 정도로 미세한 트랙을 고정도의 회전 헤드로 기록․재생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 등으로 데이터의 파손이나 Drop Out에 대한 강력한 대책이 요구되었다.

⑴ 디지털 기기에서의 에러발생 형태

① 랜덤에러(random error) - 메커니즘의 불안정성, 소거의 불완전, 옆 트랙에서 읽어지는 크로스 톡 성분으로 단발적이고 불연속적으로 발생하는 에러

② 버스트에러(burst error) - 먼지나 취급 부주의 등에 의한 테이프의 손상, 테이프 자체 불량 등 에 의해 긴 시간동안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에러, 디지털신호의 기록․전송 과정에서 큰 문제 가 된다(이 에러가 발생하면 그 부분에서 데이터가 크게 손실되어 정정과 보정이 곤란하게 되기 때문).

이 두 에러를 데이터 파손이나 drop-out의 주요인으로 여겨서 채택된 방식이 이중 리드솔로몬 부호검출 정정방식으로 2개의 트랙에 걸쳐서 인터리브(Interleave)를 거는 매우 우수한 에러정정 방법이다.  리드솔로몬 부호는 1960년에 I.S.리드와 G.솔로몬이 발표한 부호로 컴팩트 디스크에서 처음으로 사용한 후 넓게 쓰여지고 있다.

  - 최대거리 분리 부호로 효율이 높다.
  - 부호 길이, 정정 능력에 맞게 부호 설계가 용이.
  - 복호가 용이. 

⑵ 인터리브(interleave) 또는 셔플(shuffle)

① 버스트에러가 발생해서 데이터 정정․보정이 곤란하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기법으로 어느 정해진 기준에 의하여 디지털 신호를 분산하여 처리한 후 재처리시에는 분산되어 있는 신호를 원래의 순서로 재 조합시키는 것.

② 인터리브 처리에는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할 수 있는 많은 용량의 메모리가 반드시 필요(신호 지연 발생 우려)하고 또 테이프 편집시, 인터리브 도중에는 잘라낼 수 없어서 인터리브가 끝나는 점을 기준으로 오디오신호를 연결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 현재 기술적으로 전혀 문제 되지 않으며, 고도의 성능을 보유한 DAT들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5.  고속 서치서보

R-DAT의 장점이라면 고속 서치가 가능한 것이다.  테이프 위의 기록 트랙은 여러 영역으로 나누어져 있고, 각 영역에는 음악신호가 들어 있는 PCM 영역 외에 시간코드(time code)나 곡번 등을 기록한 영역들이 있으며 고속 주행 중에도 테이프 위에 기록된 신호를 회전 헤드에서 정확히 읽어야 한다.  이러한 고속 서치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① 테이프를 고속으로 무리 없이 주행시켜야 하며: R-DAT의 표준 테이프 주행속도는 8.15mm/sec이나 고속 주행시인 FF나 REW의 속도는 표준속도의 200배 정도가 된다.  따라서 여기서 문제가 되는 것은 테이프를 안전하게 드럼에 접촉시키는 기술과 부드러운 가감속이다.  이 때문에 테이프 텐션(tention)의 제어와 reel-motor의 제어가 필요하다.
② 서브코드를 읽어낼 수 있어야 한다. : 테이프가 200배속으로 주행 시 드럼도 200배속으로 회전하면서 모든 트랙을 읽어드림이 가능하지만 신호처리도 200배, 드럼 모터도 200배속으로 되어야 하므로 실현이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R-DAT에서는 테이프와 헤드의 트랙방향의 상대속도가 일정하게 되도록 제어한다.

R-DAT에서는 테이프와 헤드의 상대속도와 회전헤드의 특성을 잘 이용하여 표준 재생시와 같은 조건으로 고속 서치시에 서브코드를 읽어 들일 수 있다.  고속서치시에도 컨트롤에 필요한 데이터를 읽을 수 있고 address 지정에 의하여 공간의 특정한 장소도 지정할 수 있으며 FF나 REW도 할 수 있어서 사용이 편리하게 된다.  데이터 영역인 PCM영역에는 ID코드(인식부호)라고 하는 영역이 있어서 여기에 CD와 같이 샘플링 주파수, 채널수, 테이프 속도, 복제금지 코드, emphasis의 유무 등 많은 내용이 기록되도록 돼 있다.  따라서 이러한 서브코드 영역이나 ID코드 영역의 활용방법이 향후 많이 개발되어 R-DAT의 발전이 크게 기대된다.  R-DAT에서 이런 고속서치가 가능한 것도 드럼에 테이프가 90°만 감김으로써 가능한데 90°만 감기므로 써 많은 이점이 있다.

  - 테이프의 손상이 적다.
  - 드럼에 테이프가 감긴 상태로 고속 서치가 가능하여 빠른 access가 가능하다.
  - 테이프가 헤드에 닿는 시간이 짧고 tention도 약하므로 헤드의 수명이 길다.
  - 헤드를 2개 추가하여 90°간격으로 배치하면 녹음하면서 모니터도 가능하다.


6.  녹음 허용

R-DAT는 지금까지 기술한 것과 같이 디지털 복제의 경우 음질이 열화 되지 않고 원음과 동일하므로 저작권 보호를 위하여 제품측과 소프트측이 수 차례에 걸친 회의에 의해 1회 복제 가능한 SCMS(Serial Copy Management System)방식에 합의함으로써 녹음이 되는 경우나 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 방법은 시판의 디지털 소프트에는 미리 카피 금지 부호를 넣어 놓고 녹음기가 이 부호를 확인하여 녹음 기능을 정지시킨다는 것이다.  <표2>는 여러 가지 경우에 대해서 녹음이 가능한가 여부를 가리키는 것으로 가령 CD나 DAT의 음악 테이프, BS 방송등에서는 (a)와 같이 최초의 녹음은 가능한데 이 테이프에서 또한 라이브러리로 사용하기 위해 한 번만 카피하는 것은 무관하다.  그러나 카피한 테이프에서 아날로그 출력을 끌어내 이 신호로 카피하는 것은 손자, 증손자…로의 몇 번의 되풀이도 상관없다.  또 하나의 테이프에서 디지털 더빙을 되풀이해서 복수의 카피를 만드는 것은 상관없다.



a. 카피 금지 부호가 들어있는 소프트

┌ CD ──┐ 디지털 OK 디지털 NG
│ DAT 뮤직-테이프 ├───── DAT ───── DAT
└ BS 방송 ──┘


b. 카피 금지 부호가 들어 있지 않은 소프트

┌ 생녹음 등 자작 DAT 소프트 ──┐ 디지털 OK 디지털 OK 디지털 OK
│ BS 방송 ├───── DAT ───── DAT ───── DAT
└ 디지털․마이크로폰 ──┘


c. 카피 금지 부호의 유무에 관계 없이

디지털 OK 디지털 OK 디지털 NG
[컨버터 내장 앰프] ───── DAT ───── DAT ───── XDAT


d. 아날로그 소스

┌ 아날로그 레코드 ───┐
│ CD │
│ DAT 소스 │ 디지털 OK 디지털 OK 디지털 NG
│ 아날로그 마이크 ├───── DAT ───── DAT ───── XDAT
│ FM 튜너 │
│ BS 튜너 │
└ 기타의 아날로그 소스─┘



표 2. SCMS방식의 카피의 可․否

Ⅴ.  MD(Mini Disc) & DCC(Digital Compact Cassette)

테이프를 사용한 디지털 녹음․재생기는 DAT가 국제규격으로 정해져 이미 많은 제품이 시판되고 있다.  그러나 CD와 같이 원반에 기록되는 recorder는 CD-R이 최초였다.  이것은 CD와 같은 포맷으로 특별한 재질의 원반에 녹음이 되는 것이다.

최근 컴퓨터 세계에서 보급되고 있는 MO(Magneto Optical)와 거의 동일 원리이다.  MO는 몇 번이고 다시 녹음이 가능한데 CD-R은 한 번밖에 녹음할 수가 없다.  따라서 ROM 등에 사용하는 것은 적합하지만 음악 소스와 같이 재차 새로운 곡을 다시 녹음하려고 하는 목적에는 적합치 않다.  이 점을 해결한 것이 MD이고 새로운 용도에 적합하도록 여러 가지 점에서 신기술이 담겨져 새로운 시대의 녹음․재생기로서 등장하게 되었다.  똑같은 생각에서 테이프를 매체로 하여 탄생한 것이 DCC이다.  여기서는 오디오 분야에서 「제3의 물결」이라고까지 불리는 MD와 DCC를 간략히 짚고 가겠다.

1.  MD(Mini Disc)는 어떤 것이고 일반 대중용 디지털 녹음․재생기와 어떻게 다른가?

소니에 의해 개발된 MD는 'Mini Disc'의 이니셜로 글자 그대로 '작은 디스크'다.  직경 6.4㎝의 작은 원반상에 음성을 기록한다.  물론 미리 녹음된 소프트도 많이 발매되고 있다.  이 원반이 정방형의 플라스틱 케이스에 담겨져 있어 지문이나 먼지 등으로 오염될 걱정이 없으므로 CD보다도 취급이 쉽게 되어 있는 점이 큰 장점이다.  신호의 기록․재생은 CD처럼 레이저 광선을 사용한다.  따라서 픽업은 접촉이고 그로 인해 액세스가 CD 못지않게 스피디하다는 것이다.  단지 디스크는 녹음․재생용과 음악 소프트의 재생 전용 디스크가 달라서 재생 전용인 시판의 소프트에는 녹음할 수 없다.  녹음용은 그 전용 디스크를 구입해야 한다.

MD의 기록․재생시간은 CD와 동일한 74분인데, 면적이 1/4의 스페이스로 어떻게 CD와 같은 시간의 녹음 재생을 가능하게 할 것인가? 그 키를 쥐는 것이 '디지털 압축 기술'이다.  CD나 DAT로는 샘플링 주파수 44.1kHz마다 16bit 제도로 디지털 부호화하는데 MD에서는 시간을 약 20mm/s
(1/50초)의 간격으로 구분한다.


2.  DCC(Digital Compact Cassette)란 무엇이고 디지털 녹음․재생기와 어떻게 다른가?

필립스와 마쯔시다가 공동으로 개발한 디지털 오디오 시스템으로 디스크가 아닌 자기테이프를 사용한다.  더욱이 Cassette Recorder와의 양립성을 중시하여 DCC의 테이프 폭, 테이프 스피드와 케이스 크기도 같게 하여 하나의 DCC로 종래의 아날로그 카세트 테이프도 재생할 수 있게 했다.  이 점은 종래의 카세트 테이프를 많이 소유하고 있는 사람에게는 대단히 좋은 일이다.  이 양립성 때문에 여러 가지로 어려움이 있었던 것 같으나 그 어려움을 훌륭히 해결했다.  단지 조작성에서 종래의 카세트와 거의 같은 테이프이기 때문에 선곡이나 곡의 첫머리를 찾아내는 데 어느 정도 시간을 소요하는 것은 어쩔 수 없다.  테이프 주행계의 기본은 DAT와 같은 회전헤드 방식이 아니라 Compact Cassette와 같이 고정된 헤드의 앞을 테이프가 주행하는 방식이다.

이미 말 한대로 좁은 공간에 방대한 디지털 정보를 기록하기는 어려운 일이다.  그 때문에 MD와 같이 디지털 부호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디지털 압축 기술'을 이용하고 있다(1/4로 압축).  이 새로운 기술에 의해서 음질의 손상 없이 같은 시간의 녹음 재생이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엄밀히 말하면 성능은 CD나 DAT보다도 약간 처지는 것은 어쩔 수 없다.  그러나 실제로 음악을 들었을 때의 음질 차이는 거의 알 수 없다는 것이 대체적인 의견이다.



● MD와 DCC는 DAT에 비해 하드웨어의 가격이 저렴하고, 음향품질은 DAT와 CD에 못지않을 정도로 우수하며, 또한 이들을 뒷받침하는 풍부한 소프트웨어가 지속적으로 지원되기 때문에 기존의 아날로그 카세트를 대치하는 새로운 디지털 오디오매체로 급부상하고 있다.  그렇다면 이들이 기존의 DAT와 CD를 오디오 시장에서 몰아낼 것인가? 아니다.  용도의 차이가 분명히 존재하고 또 소비자의 욕구와 경제성이 다르기 때문에 두 영역은 공존하게 될 것이다.



Ⅶ.  R-DAT가 아날로그녹음기와 다른 점

DAT는 아날로그 음악신호(원음)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테이프에 기록하고 재생할 때는 디지털 신호를 다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재생한다.  지금까지의 카세트 데크는 아날로그 음악신호를 자기의 변화로 바꾸어 직접 테이프에 기록하였기 때문에 테이프의 특성이나 헤드의 특성에 따라서 기록 후 재생 시에는 음질을 열화시키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은 다이내믹 레인지나 주파수 특성이 협소하게 되고 와우&플러터(wow&flutter)나 테이프 노이즈가 나타나고 왜율이 높게 되는 등 원리적으로나 가격면에서도 거의 한계에 도달하였다.  이러한 아날로그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생각한 것이 디지털 기록․재생이 가능한 DAT다.
<표3>에 DAT와 Compact Cassette, Compact Disc에 대하여 각 항목별로 비교하였다.

R-DAT의 제반 성능은 아날로그 녹음기에 비해서 매우 우수하다(CD, DCC, MD같은 디지털 기록․재생 시스템도 마찬가지).

① 주파수 응답 : DAT에서는 실제로 직류부터 나이키스트 주파수 영역(1/2fs)에서는 입력신호의 크기에 관계없이 매우 평탄한 주파수 응답 특성이 얻어진다.

② 다이나믹레인지 : 디지털 시스템에서의 이론적인 다이나믹레인지는 (6n+1.8)dB.  n=양자화비트 수 16bit 기기에서는 90dB 이상의 매우 높은 다이나믹레인지를 얻을 수 있다.

③ 왜곡 : 일반적인 디지털 녹음 시스템에서의 왜곡은 입력신호의 레벨이 작을수록 상대적으로 증가하지만 그 수치는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작다.

④ 잡음 : 양자화잡음은 귀에 거슬리므로 일반적인 DAT에서는 고성능 ADC/DAC를 사용하여 S/N비를 크게 개선하고 있다.  따라서 아날로그 녹음기에서 흔히 발생하는 고역성분의 Hiss Noise나 저역성분의 Rumble Noise가 전혀 없다.

⑤ 와우 & 플러터 : 디지털 시스템의 와우 & 플러터는 수정발진기의 정밀도에 의해 결정되고, 또한 데이터가 메모리를 경유하여 입출력되므로 실제적인 와우 & 플러터는 0이라 할 수 있으므로, 아날로그녹음기에 비해서 음색이 투명하다.

⑥ 더빙 특성 : 기록재생 과정을 디지털 처리하므로 여러 번 반복하여 더빙해도 주파수 특성과 다이내믹레인지의 열화가 없다(아날로그의 경우 ; 1회 더빙에 S/N비 3dB 저하, 주파수 응답도 변화분만큼 누적되어 출력).

항 목 \ 구 분
R-DAT
컴팩트 카세트
컴팩트 디스크

기능
기록/재생
기록/재생
재생

채널수
2CH
2CH
2CH

샘플링 주파수
48kHz
없음
44.1kHz

주파수대 상한
22kHz
메탈 18kHz
20kHz

양자화 비트수
16비트 직선
아날로그
16비트 직선

다이나믹 레인지
96dB
50~60dB
96dB

전송속도
2.46Mbps
전송대역 20kHz
2.03Mbps

서브코드 용량
271.3kbps
없음
58.8kbps

변조방식
8~10변조
없음
8~14변조

에러정정방식
이중화 RS
없음
CIRC

기록메체
테이프
테이프
디스크

사이즈(mm)
75×54×10.5
102×54×12
직경 120, 두께 1.2

기록시간/테이프두께
2시간/13μm
1시간/18μm, 2시간/9μm
표준 1시간, 최대 74분

테이프 폭
3.81mm
3.81mm
-

테이프 종류
메탈/산화물
산화철/메탈/증착
-

테이프 속도
8.15cm/초
4.75cm/초
-

상대 속도
3.133cm/초
4.75cm/초
-

트랙폭
13.591μm
-
0.5μm

트랙 간격
13.591μm
-
1.6μm

헤드 아지므스 각
±20°

-

표준드럼 직경
30mm
-
-

회전수
2,000rpm(드럼)
-
200~500rpm(디스크)

주파수 특성
4~22,000Hz
40~18,000Hz(메탈)
4~20,000Hz

왜율
0.0016%
0.3%(-30dB)
0.0016%

고속속도
200배
20배
30배

서치1곡(3분용)
0.9초
9초
0.9초 이하

테이프 로딩


-


표 3. R-DAT, Cassette, CD의 특성 비교

Ⅷ.  결 론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음성 신호를 부호화하여 전송하는 Digital Audio System은 1982년에 발표된 CD에 의해 막이 열렸다.  레코드나 방송 등의 프로세계에서는 이미 몇 년 전부터 녹음 재생용의 Tape Recorder가 실용화되고 있었다.  그러나 일반에 보급되는 디스크는 자기 테이프와 달리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기 때문에 규격 통일 작업을 거쳐 겨우 빛을 보게 된 것이다.  프랑스의 리브스에 의해 발명된 최초의 디지털 방식의 원리를 실용화하기 위해서는 고성능의 소자가 필요하여 결국 반도체의 출현까지 기다리지 않으면 안되었다.  일반용으로서의 Tape Recorder보다 CD쪽이 빨리 제품화되었는데 실은 VTR을 사용해 녹음 재생을 하는 'Digital Processor'가 이미 1977년에 상품화되고 있었다.  그러나 사용법이 어렵고 일반적이지 못했기 때문에 널리 보급되진 못했다.  그 후 본격적인 Digital Audio Tape Recorder로서 세계 통일 규격의 DAT가 상품화되었고 현재는 Cassette Tape Recorder와 자리바꿈을 할 것이다.  또 비디오 디스크의 음성이나 뉴미디어인 위성 방송도 디지털화되어 이제는 음성에 관한 한 디지털이 상식이 되는 '디지털 시대'가 되어 가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음성, 데이터 등 정보의 형태를 획일적으로 행하는 미디어 시대가 물러가고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공유․유통․배포할 수 있는 시대가 열리고 있다.

〔 참고서적 〕
⑴ AV시대의 오디오백과 데하라 마스미 지음, 전창훈 옮김, 1996.3., 서울출판미디어
⑵ Sound Recording Technique 장인석著, 1996.4., Cellular Publishing Co.
⑶ 전자과학 1997.6 p.204~p.216
⑷ 디지털 오디오의 이론과 응용 안세영著, 1998.1., 도서출판 탐구원
⑸ Radio Production Worktext - Studio and Equipment Lynne Gross, David E.  Reese
⑹ The DAT World target=_blank>http://perso.club-internet.fr/farzeno/edat.htm

⑺ DAT-heads FAQ





--------------------------------------------------------------------------------



사용자 설명서

1.연결

1.1전원

1.1A 전원코드


ADAT는 교류전압 220V, 60Hz에서 동작됩니다. ADAT의 전원 코드는
접시형 3심(3Pin)으로 접지형 전원 콘센트에 연결되어야 합니다. 절대로
접지형이 아닌 전원 콘센트에 연결하지 마십시오.

1.2A 접지루프

흠, 버즈등이 접지 루프에 의해 오디오기기에 나타납니다.

대부분 접지 루프 문제는 모든 기기를 동일한 접지형 전원 콘센트에 연결하면 해결됩니다.
중요한 것은 AC전원에 과부하가 걸리지않도록 하는 것입니다. 특별한 경우에는 루프
조건에 따라 연결을 차단할 필요가 있습니다. 하나의 방법으로 실드된 오디오 케이블의
한지점에서 실드를 파괴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1.2오디오 케이블 팀

오디오 케이블은 연선의 내부 도선과 저항의 실드된 저-용량의 실드된 케이블 연결시 다음
에 주의 하십시오.

-전원 코드와 오디오 케이블을 함께 묶지 마십시오.
-오디오 케이블을 전자파 간섭을 일으키는 장비 근처에 두지 마싶시오.
-케이블을 비틀지 마십시오.
-케이블에 무리한 힘을 가하지 마십시오.
-전원 콘센트에서 케이블을 분리할때는 반드시 플러그를 뽑고 분리하십시오.
-케이블을 깨끗이 하십시오.
-절대로 연마제로 케이블을 닦지 마십시오.

-1-




.
1.3오디오 불평형입력

1.3A 3A입력 잭 특성

ADAT TYPE DATA에는 8개의 불평형, 1/4" 폰 잭 입력이 있습니다. 이들 잭은 믹서, 신디
사이저, 샘플러등의 저-임피던스, 불평형의 -10dbV 출력과 연결됩니다. 기타, 마이크로폰과
같은 저 출력/고-임피던스 출력장치와는 프리앰프가 필요합니다.

불평형 입력 잭의 선은:
․ 팁 : 신호
․ 슬리브 : 실드 및 접지

1.3B 입력 잭 연결

입력 잭은 다음의 3가지중 하나에 연결합니다.

․ 직접 콘솔의 테이프 출력
․ 8개의 믹서 버스 출력
․ 테이프 출력 및 버스출력

1.4 오디오 불평형 출력

-10dbV 출력은 모노 1/4"폰 잭을 사용하여 공칭 -10dbV의 신호를 전송합니다. 이들은 믹
서 채널 입력 또는 테이프를 구동합니다.

1.5오디오 평형 입력 및 출력

ADAT의 후면 판넬의 다중핀 코넥터에는 +4dbV평형 라인 입력과 출력이 있습니다.

1.6 디지털 입력 출력

디지털입/출력 코넥터는 단일 광섬유 케이블8개의 출력을 전송할 수 있습니다.

1.7 동기

2개 이상의 ADAT를 동기하려면 동기 출력을 다음 ADAT의 동기 입력에 연결하십시오.

-2-





1.8 메타브릿지

RMB 리모트 메타 브릿지에 ADAT를 연결하려면 ADAT 메타 브릿지 출력 코넥터와 RMB
입력 코넥터를 듀얼 암, 9Pine D 코넥터 케이블로 연결하십시오.
전원을 켜기 전에 반드시 먼저 연결하여 ADAT가 사용되는 푸트 스위치의 형식에 대한 자
체구성을 하도록 전원 켜기전에 반드시 먼저 연결되어야 합니다.







2.동작

2.1전원 및 테이프 삽입

모든 연결을 마치고 전원을 켜면 ADAT는 먼저 테이프의 삽입여부를 확인합니다.

․ 포멧 테이프가 삽입되어 잇으면 카운터는 테이프의 동작시간을 나타냅니다.

․ 포멧되지 않은 테이프가 삽입되어 있으면 카운터는 "noF0"를 나타내며 LED는 깜박입니다.

․ 테이프가 삽입되어 있지 않으면 카운터는 "__________"을 나타냅니다.

주: S-VHS카셋트에 녹음을 하려면 녹음방지 탭은 그대로 두십시오. 녹음 방지탭이
파손된테 이프에 녹음하려면 "Prot"가 나타나며 ADAT는 테이프에 녹음할 수 없습니다.
탭이 파손된 테이프에 녹음하려면 접착용 셀로판 테이프, 라벨등으로 카세트에 있는
구멍을 완전히 덮으십시오.

-3-





2.2테이프 포맷

테이프를 포맷하려면 다음에 따르십시오.

1. 포맷 버튼을 누르십시오
(테이프가 포맷이 되지 않으면 포맷 버튼을 누르기 전에 포맷LED는 깔박입니다.)
포맷 버튼을 누르면 만약 ADAT가 녹음 모드가 되면 포맷을 시작하는 것을 나타내는
포맷 LED가 켜집니다. 8트랙이 녹음될때는 8트랙 녹음 LED가 켜집니다.포맷LED가
켜져 있는 동안에는 8개의 녹음 버튼을 눌러도 영향이 없습니다.

2 . 녹음을 누르고 있는 동안 재생 누르십시오.
ADAT는 잠시동안 재생 모드로 되어 테이프의 포맷 여부를 확인 합니다.

3 . 테이프의 시작부이면 ADAT는 15초 녹음 ("LEAd"로 표시) 및 데이터의 2분
("dAtA"로 표시)에서 시간 코드는 -00:05에서 시작하여 테이프 끝까지 계속하여 완
전히 포맷합니다.

포맷되지 않은 테이프가 테이프의 시작부가 아니면 포맷은 되지않고 녹음도 되지 안
습니다. 포맷하기 전에 반드시 테이프의 처음을 되감으십시오


2.2A 포맷시 주의 사항

․ 공테이프는 반드시 테이프의 처음으로 되감으십시오.
․ 주의:포맷된 테이프를 재-포맷하지 마십시오.
․ 테이프의 처음부터 끝까지 포맷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나 반드시 그렇게 할 필요는 없어습니다.
․ 포맷동안 오디오는 녹음할 수 있습니다. 포맷버튼을 누르기 전에 녹음하려는 트랙의 녹음을 누르면 됩니다.
․ 포맷을 멈추려면 정지 버튼을 누르십시오.
․ 테이프는 벌크 테이프 이레이저로 전부 지울 수 있습니다.

-4-





2.3트렉 녹음/모니터 콘트롤

2.3A 녹음가능 버튼

트랙에 녹음을 하려면 트랙과 관련된 녹음 가능 버튼을 누르십시오. 트랙 녹음
LED가 깜박이면 트랙이 녹음 준비가 되어 있는 것을 나타냅니다. 녹음이 되는
동안 녹음LED는 계속 켜져 있습니다. 녹음을 멈추려면 다시 트랙과 관련된 녹음
가능 버튼을 누르십시오.

2.3b 자동 입력 모니터

트랙이 입력 신호를 모니터할 때 그와 관련된 입력 LED는 켜집니다.

․ 자동입력이 꺼지면 (자동입력 LED 꺼짐) 모든 녹음 트랙은 입력신호를 모니터합니다.
․ 자동입력이 켜지면 (자동입력 LED 켜짐) 다음과 같이 2가지 모드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모드1:디플트모드이며 입력이 녹음, 정지, 되감기 또는 빨리감기 단 재생은
제외,에서 녹음할 수 있는 트랙을 모니터 합니다.

모드2:이 모드는 녹음모드에서 녹음 가능한 트랙의 입력을 모니터합니다.


2.3C 전입력 모니터

이 버튼을 누르면 (전입력 모니터 LED가 켜짐) 자동입력 모니터 설정을 무시하기
때문에 녹음 가능상태와 관계없이 모든 트랙은 입력신호를 모니터합니다.
모든 8트랙 입력 LED는 켜집니다.

2.3D 디지털 입력

이 버튼은 ADAT가 아날로그 입력 (균형 또는 불균형)또는 디지털입력을 녹음할 지를 결정합니다.
디지털 입력을 녹음하려면 이 스위치를 누르십시오.

-5-





2.4콘트롤 동작

2.4A 꺼냄

ADAT로부터 테이프를 꺼낼 때 누르십시오.
테이프가 움직이고 있을때는 꺼내기에 먼저 정지시키십시오.

2.4B 되감기

테이프를 되감을려면 누르십시오.
되감기 LED가 켜집니다.
완전히 되감으면 되감기 LED는 꺼지고 정지 LED가 켜집니다.

2.4C 빨리감기

테이프를 빨리 되감올려면 누르십시오.
빨리감기 LED가 켜집니다.
완전히 되감으면 빨리감기 LED는 꺼지고 정지 LED가 켜집니다.

2.4D 정지

다음의 기능을 합니다.

․ 이동 정지:테이프의 움직임을 포함하여 모든 기능을 정지시킵니다.

․ 테이프 물림/풀림: 정지LED가 켜져있을 때 정지를 다시 누르면 테이프를 풉니다.
정지 LED가 깜박거릴 때 정지를 다시누르면 테이프를 로딩 합니다.

․ 펀치 아웃: 녹음동안 재생을 누르면서 정지를 누르면 테이프는 동작하나 녹음되는
모든 트랙은 녹음 모드를 벗어납니다.

-6-





2.4E 재생

테이프를 동작시키려면 누르십시오.(재생 LED가 켜집니다.)재생, 녹음 또는 포맷동안
재생 버튼 자체로는 아무런 영향이 없습니다. 위치설정 동안 재생을 누르면 위치설정을
한 후 ADTA는 재생을 시작하고 (재생 LED가 깜박거림)재생을 두번 누르면 위치설정을
멈추고 ADAT는 재생모드로 들어갑니다.

2.4F 녹음/펀치 입력 출력

녹음모드에 들어가거나 빠져 나올 때 또는 테이프를 포맷할 때 사용합니다.

2.5 풋스위치 콘트롤 펀칭

펀치 입력/출력 풋스위치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 트랙이 녹음 가능하고 테이프가 재생하면 풋스위치를 누르면 트랙은 녹음 모드로 들어 갑니다.
이것은 녹음 모드로 들어가기 위해 재생과 녹음을 누르는 것과 같습니다.

- ADAT가 이미 녹음 모드이면 풋스위치를 누르면 녹음이외를 누르면 녹음 이외를 펀치하며 테이프는 계속
재생합니다.

2.6 자동 위치

ADAT는 테이프의 규정 위치를 찾을 수 있습니다.

2.6A 위치 지정

위치를 설정 하려면 위치 설정 버튼을 누르십시오. 누르고 있는 동안 다음의 위치 번호 버튼을 누르십시오.

설정-위치 0 : 00:00으로 테이프 카운터를 재설정 합니다.

설정-위치 1 : 위치 설정 버튼을 누르고 있는 동안 위치 1을 누르면
테이프위치가 메모리 버퍼에 저장 됩니다.

설정-위치 2 : 위치 설정 버튼을 누르고 있는 동안 위치 2를 누르면
테이프위치가 제 2의 메모리 버퍼에 저장 됩니다.

2.6B 자동 위치 설정

위치 0 : 이 버튼을 누르면 테이프는 00:00 위치로 됩니다.

위치 1 : 이 버튼을 누르면 테이프는 설정-위치 1 메모리 버퍼에 저장된 위치로 갑니다.

위치 2 : 이 버튼을 누르면 테이프는 설정-0위치 2 메모리 버퍼에 저장된 위치로 갑니다.

2.6C 자동 2>1

이 버튼은 위치 2에 도달한 후 위치1에 자동적으로 돌아 갑니다.

2.6D 자동재생

이 버튼을 누르면 ADAT가 자동위치 설정한 후 재생모드로 자동적으로 들어갑니다.

-7-





3. 수리

3.1 일반 사항

3.1A 청소

전원 코드를 분리하고 젖은 천으로 ADAT의 금속 및 플라스틱면을 닦으십시오.

3.1B 수리

- 주기적으로 전원 코드의 손상 여부를 확인 하십시오.

- 장시간 사용하지 않을 때는 ADAT의 전원 코드를 분리 하십시오.

- 사용하지 않을 때는 ADAT에 먼지 방지 덮개를 씌우십시오.

- 동작동안 LED 디스플레이의 좌우측 십진수가 깜빡이면 디지털 테에프로 복사 하십시오.

*계속 문제가 일어나면 수리의뢰를 하십시오.*

3.2 ADAT 헤드 수명

주의를 하면 헤드의 수면은 수천 시간입니다.

ADAT를 습기, 먼지, 고온 또는 심한 온도변화가 있는 곳이나 물리적 손상(낙하, 충격)이
없도록 사용 시 주의 하십시오. ADAT 의 상부 또는 하부 덮개를 열지 마십시오. 내부에는
사용자가 교체할 수 있는 부품이 없습니다.

3.3ADAT 헤드 수리

- ADAT 의 헤드는 ALESIS에서 배열하였습니다.
- 사용자 배열은 없습니다.
- 또한 헤드는 청소 할 필요가 없습니다.
- 헤드 청소보다 더 중요한 것은 고품질의 테이프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 만약 헤드를 청소하려면
- 3M VHSHC BLACK WATCH 헤드 청소용 카세트를 사용하십시오.
- 절대로 세청용액을 사용하는 헤드 청소용 카세트는 사용하지 마십시오.

3.4테이프 수리 - 안전 테이프

ADAT 테이프를 고온, 자장, 고습도, 먼지등이 있는 곳에 두지 마십시오.

다음에 주의 하십시오.

- 테이프를 스피커, 전력 앰프 또는 TV및 전기장치 근처에 두지 마십시오.
- 테이프를 고온 또는 온도의 변화가 심한 곳에 두지 마십시오.
- 테이프를 고습도 또는 먼지가 많은 곳에 두지 마십시오.
- 테이프를 차의 계기판에 두지 마십시오.
- 내부를 보기위해 테이프의 셔트를 열지 마십시오.


지워진 데이터는 결코 회복되지 않기 때문에 안전하게 테이프를 취급하십시오.

-8-





3.5 에러 메시지

3.5A ADAT 메시지 및 설명

- du - : 습도가 너무 높음

해결 : ADAT 의 전원을 끄고 기다리십시오. 헤어 드라이어를 사용하여 ADAT 에 열을 가하거나
냉각 시키지 마십시오.


noF0 : 테이프가 포맷 되지 않음.

해결 : 테이프를 포맷 시키십시오. 만약 포맷된 테이프를 사용했다면 테이프가 완전히 되감지
않았거나 테이프가 손상되었으므로 테이프를 되감으십시오.


Prot : 테이프가 녹음 방지가 되어 있습니다.

해결 : 테이프를 빼내어 후면 코니의 녹음방지 소켓에 접착 테이프를 붙이 십시오.

3.5B 에러 1-8

만약에 에러 메시지가 (Er1, Er2 등으로 표시)가 나타나거나 ADAT 가 이상하게 동작되면 다음과 같이 하십시오.

1. 테이프 동작을 정지시키고 에러표시가 나타나는지 확인 하십시오.

2. 테이프를 1-2분간 되감으십시오. PLAY를 누르고 에러 표시가 나타나는지 확인 하십시오.

3. 테이프를 꺼내십시오. 다시 테이프를 넣고 동작 시키며 에러 표시가 나타나는지 확인하십시오.

4. ADAT 의 출력에 연결된 앰프 또는 믹서의 볼륨을 낮추십시오. ADAT 의 전원을 끄고 몇분간
기다리십시오. 다시 ADAT의 전원을 켜고 단계 1-3을 되풀이하여 에러 로고가 나타나는지
확인하십시오.

5. 다른 테이프를 사용하여 단계 1-3을 되풀이 하며 에러 표시가 나타나는지 확인하십시오.

6. 에러표시가 계속나면 수리를 의뢰 하십시오

-9-






4. 제품의 특성

이동

녹음포멧 : ADAT (엘리시스 디지털 오디오 테이프)
SVHS 카트리지 사용 회전 디지털 녹음

녹음시간 : S-120 카트리지에 대해 40분

빨리감기 / 되감기 비 : 재생속도의 20배 - 언래피드
10배 - 래피드

패스터 오디오 주사 비 : 재생속도의 3배

오디오


오디오 채널 수 : 8

녹음 (A/D) : 16비트 선형 오디오, 델타-시그마 64매 오버-샘플링, 채널당 단일 변환기.

동작 (D/A) : 18비트 선형 채널당 단일 변환기


샘플비 : 공칭 48kHz
50.8 - 40.4kHz 로 사용자 가변 가능

주파수 응답 : 20Hz - 20kHz, +/-5 dB

다이나믹 범위 : 20Hz - 20kHz, 92dB 이상

찌그러짐 : 0.009% THD + 노이즈 @1kHz, 최대 출력 0.5dB

채널 크로스토크 : -90dB @1kHz 이상

우 및 플루트 : 측정 불가

아날로그 입력 / 출력

-10-





커넥터 ;

평 형 : 단일 56핀 ELCO 코넥터블록

불평형 : 16개 1/4" 폰잭 (8개 입력, 8개 출력)

입력 임피던스 :

평 형 : 10KW

불평형 : 11KW

출력 임피던스 :

평 형 : 51KW

불평형 : 51KW

공칭 입력 레벨 :

평 형 : 4dBm

불평형 : -10dBm

최대 입력레벨 :

평 형 : +19dBm

불평형 : +5dBm


디지털 입력 / 출력

코넥터 : 2개의 EIA 광섬유 잭(1개의 입력, 1개 출력)

통신 프로토콜 : 엘리시스 광섬유 멀티 채널(8트랙)

리모트 / 동기

리모트 콘트롤 커넥터 : 2개의 1/4" 폰잭

사용자 리모트 기능 : 재생, 정지, 빨리감기, 되감기, 녹음, 위치0
위치1, 위치 설정, 자동 2-1, 자동 재생
자동 입력 모니터 및 전입력 모니터

동기 커넥터 : 2개의 9핀 D-Sub 커넥터

동기 능 력 : 0-16ADAT가지 자동 주/보조 동기

일반 사항

전원 : 220v 60Hz 32w

동작 온도 :10-40 °C

동작 습도 :최대 80%

크기(높이´폭´깊이) : 5"´19"´14" (127mm´483mm´56mm)

무게 : 15 lbs (6.8Kg)

포장무게 :30 lbs (13.6Kg)

~~~~~~~~~~~~~~~~~~~~~~~~~~~~~~~~~~~~~~~~~~~~~~~~~~~~~~~~~~~~~~~~~~~~~~~~~~~~~~~~~~~~~~~~~~~~~~~~~~~~~~

PD150과VX2000과의 차이점


디자인 및 컬러: 두 제품의 기본적인 디자인은 거의 유사하지만 바디 컬러가 VX2000의 경우 실버톤인데 반해 PD150은 고급스러운 느낌인 메탈톤의 진한 회색 계열이다.

DV 기록방식: VX2000이 가정용의 Mini DV 방식인데 비해 PD150은 DVCAM 방식이다. DVCAM 방식은 DV 방식을 기반으로 개발된 업무용 포멧으로 양자 사이의 화질 차이는 없다. 다만 DVCAM 방식이 15㎛의 보다 넓은 Track Pitch를 사용하기 때문에 촬영한 영상의 편집시 신뢰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오디오: VX2000이 스테레오 마이크를 내장하고 있는데 반해 PD150은 모노 마이크를 장착하고 있으며 착탈이 가능하다. PD150은 2 채널 XLR 커넥터를 채택하고 있으며 두 채널 간에 서로 독립적으로 오디오 레벨을 조절할 수 있으며 외부 모노럴 마이크를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다.

아이리스, AE Shift, 게인: PD150은 게인을 별도로 컨트롤할 수 있도록 분리하고 기존의 노출 버튼은 아이리스만 조절하도록 분리시켰으며 AE Shift를 버튼으로 외부에 배치했다.

뷰파인더: VX2000은 컬러 프리시젼 18만 화소, PD150은 흑백 프리시젼 18만 화소로 포커스 조정시 PD150이 유리하다.

타임코드: PD150은 H/M/S/F 및 User Bits의 타임리셋 기능을 지원한다.

DATE REC: PD150은 녹화시 영상에 날짜와 시간을 함께 기록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스탠바이 모드: 카메라 본체에 테이프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 5분이 경과하면 VX2000은 자동으로 전원이 꺼지는데 반해 PD150의 경우에는 전원은 꺼지지 않고 내부의 드럼만 작동을 정지한다.

디지털 프로그램 편집: VX2000이 기본적으로 i.LINK를 사용하고 I.LINK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적외선 리모콘을 이용하는 방식인데 반해 PD150은 i.LINK만을 사용한다.
73lang
2003.09.18 11:10
님의 자료를 퍼가도 되겄넌지여?

DAT(Digital Audio Tape Recorder) 에 대한 자료와 그 밑에 PD150과VX2000의 차이점에 대한 자료를

님의 아이디와 출처를 명확히 하고 다른 게시판에 올려도 되겄넌지여?

일단은 퍼 가겄슴다 ^^;;;;;;;;;;;;

만약 원치 않으신다면언 쪽지 보내주시씨요잉...곧바루 삭제허겄슴다

(__);;

...............................................영화럴 꿈꾸며 뇨(女)자럴 꿈꾸넌 당랑타법 1분에 14타
이전
35 / 753
다음
게시판 설정 정보
댓글이 달린 게시글은 수정/삭제 불가
답글이 달린 댓글은 수정/삭제 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