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게시판
15,044 개

모르는게 있으면 물어보고, 아는게 있으면 가르쳐주고...
질문은 최대한 자세히 성실하게, 답변은 친절하고 다정하게

선배님들께 질문 드립니다.

dudghkdls
2009년 07월 05일 14시 02분 41초 1854 7
안녕하세요^^
이번에 단편영화를 처음 찍으려고 하는 초짜라 이렇게 선배님들에게 몇가지 질문드립니다.
첫째는 조명을 쓸때 (키노나 쥬피터 등...) 그 대여한 조명기를 일반 가정집 전원코드에 그냥 꽂아 써도
스파크나 전기에 문제가 생기지 않나요?
잘못 꽂아서 쓰면 가정집 전기 온통 다 나간다는 말을 들어서 많이 불안하거든요.
만약 문제가 생긴다면 어떻게 해야 되는건지 궁금합니다.
제 생각으론 그렇다고 일반 단편영화 작업하시는 분들이 전부 비싼 발전차를 부를것 같진 않거든요.
만약 조명 와트나 킬로수에 따라서 달라진다면 좀 자세히 알려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그래서 사실 저같은 경우는 지금 그냥 일반 전파사에서 파는 삼파장 램프 55w자리 두개 정도를
세워놓고 작업해보려고 하거든요.
삼파장 55w 짜리 두개를 켜보니 예상보단 밝기가 상당한지라 비록 조명 그립은 없지만
아쉬운 대로 그냥 해보려고 합니다.
이렇게 해도 문제가 없나요?
그리고 또 한가지는 일반 단편영화 공모전 보면 예심 출품할때는 일반 dvd를 제출해도 되지만
본선 진출작으로 확정되면 반드시 dv테잎으로 제출하라고 하잖아요.
dvd는 상영이 안된다고...
제가 그걸 할 줄 몰라서요.
프리미어에서 movie로 익스포트해서 dvd는 만들어 봤는데 dv테잎은 아직 한번도 안만들어 봐서요.
그래서 드리는 질문인데요
제 생각에 dvd만들때처럼 dv테잎 만드는 것도 그냥 프리미어와 dv카메라를 ieee 1394로 연결해놓고
카메라에 공테잎을 넣은다음 프리미어 익스포트 메뉴에서 그냥 tape 메뉴를 눌러주면
저절로 연결된 공테잎에 캡춰가 되는건가요?
그리고 이렇게 dvd와 dv 테잎으로 익스포트한 두 포맷의 차이는 뭔가요?
단지 형식의 차이인가요? 아님 화질의 차이인가요?
이 부분도 선배님들의 자세한 답변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자세히 질문을 드리다보니 길이 너무 길어진 점 죄송하구요
그럼 더운데 다들 건강조심하세요^^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tll5090
2009.07.05 17:31
바로 연결해서 쓰지는 않고 돌돌이나 리드선 연결해서 쓰고요 보통 1~2개 연결해요.
( 리드선에 리드선 막 연결해서 끌어오는 경우도 있는대 합선에 위험있으니까 되도록이면 가까운곳에서 끌어오세요.)
전기가 나간다는건 와트수로 계산하는건대 보통 가정용 전류는 2~3k 정도를 넘어가면 전기 차단기가 내려가게 설정되어
있기때문에 . 2~3k 넘게 연결할 경우는 다른 두 군대에서 끌어오죠 .
(삼파장 램프가 몇 켈빈이 나올지는 모르겠지만 와트 수 문제가 아니라 문제가 되는건 켈빈도입니다.)
원하는 켈빈에 맞출수 .있느냐가 문제입니다 .
dudghkdls
글쓴이
2009.07.05 19:13
답변 고맙습니다 tll5090님^^
근데 말씀하신대로 조명기를 전원코드에 그냥 다이렉트로 바로 꼽지 않고
돌돌이에 한번 꼽아서 쓰는 이유가 뭐죠?
그냥 다이렉트로 꼽아서 쓰는 것과 무슨 차이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알아보니 삼파장 램프 55w 한개당 나오는 캘빈수가 보통 6500k 정도 나온다고 되어 있습니다.
두개니까 12000~13000k 정도 되겠네요.
이 정도면 보통 어느정도의 효과일까요?
tll5090
2009.07.05 21:15
리드선이나 돌돌이에 한번 꽂아서 쓰는 건 보통 조명선은 짧기 때문에 걸려 조명에 발이 걸려 넘어지는걸 방지할수
있기때문이죠 (그 밖에 코드선 확보하고 또 선배들한테 다이렉트로 꼽을 경우 조명에 안 좋다는 이야기도 들었던것
같습니다 .)
색온도는 그렇게 합쳐서 계산하는게 아니라 빛마다 고유에 색온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
예를들어 태양광이 5600k 실내광에 경우 3200k 쓰는게 보편적인 예이지요 그 밖에도 (양초는 불빛은 2000k 등이 있습니다.)
삼파장 램프를 두개쓴다해서 12000k 되는게 아니라 그대로 6500k 이 되는것이지요.
dudghkdls
글쓴이
2009.07.06 05:48
아! 그렇군요 tll5090님^^
그럼 조명기를 가정에서 다이렉트로 바로 꼽는 것도 전기적으로는 큰 문제는 없군요.
물론 만약을 대비해서 전 앞으로 tll5090님 말씀대로 반드시 돌돌이에 먼저 조명기를 꼽아서 작업을 할테지만요^^
그럼 보통 미디액트 같은데서 대여할수 있는 키노나 쥬피터 같은 조명기는 바로 대여해다가 가정에서 쓸 수
있는 것이군요.
보니까 거기 조명들이 tll5090님 말씀대로 2개를 대여해도 전부 2~3k는 넘지 않으니까요.
그리고 캘빈도는 그렇게 계산하는거군요 tll5090님ㅡㅡ;
죄송합니다 제가 워낙무식해서...ㅎㅎㅎ
참 그리구 보니까 지금껏 몰랐는데 tll5090님 말씀을 듣고보니
제가 쓰던 파나소닉 dvx100b 카메라 액정파인더에 표시되어 있는 56k 라는 숫자가
전 그동안 무슨표시인지 잘 몰랐었는데 tll5090님 말씀을 듣고 보니 바로 그게 색온도(캘빈도) 였나 보군요!
그쵸 tll5090님?
그니까 한마디로 야외촬영일때는 그 숫자를 tll5090님 말씀대로 56k에다 맞춰 촬영하고
또 실내촬영일때는 그 숫자를 32k에 맞춰 촬영하고
또 촛불촬영일때는 20k 에 맞춰 촬영해야 한다는...!!!
아~! 그동안 이 숫자 표시가 너무너무 궁금했었는데 tll5090님 덕분에 부끄럽게도 이제서야 알게되었네요 ㅜㅜ
하지만 너무너무 기쁩니다 tll5090님^^
근데 제 말이 맞죠 tll5090님?
죄송합니다. 너무 귀찮게 해드려서...ㅡㅡ;
tll5090
2009.07.06 21:52
보통 카메라 에서는 32k 56k이 기본 값으로 저장되어있습니다.
그리고 그 밖에 현 상태(화벨 본상태) 켈빈도를 저장하기위해 프리셋을 사용하죠 .
그런대 중요한건 카메라에서만 켈빈도를 맞추는 것뿐 아니라 조명 자체도 필터를 쒸워서 환경마다
조명의 켈빈도를 맞춰줘야 합니다 . 예를들어 키노 조명에 다마는 3200k,5600k 보통 두가지를 바꺼가면서 쓰죠
( 그 밖에도 일반 형광등도 달기도 하죠 .) 또 다른예를들자면 삼파장이 6500정도 나온다면 실내에서 조명으로 사용하려면
엠버 필터를 사용해서 켈빈도를 낮춰주죠 . 제 조금한 지식이 도움되었다니 기쁘네요 .
Profile
hshin2000
2009.07.09 09:34
전력 테스트기 싸구리 하나 사서 가정용 전력의 용량 체크하시고 조명 연결하세요.(어찌 하는지는 전파사에 문의하셔서 계산하시구요) 그리고 가급적 하나의 플러그에 한꺼번에 2개 이상 연결하지 마시구요. 650w 서너개 정도정도는 무관할듯 싶은데...그이상은 퓨즈 나가거나, 차단기 내려갈 가능성도 있으니 주의하시구요. 키노정도는 전력을 많이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그리 문제가 아니지만, 텅스턴은 전럭 많이 소요됩니다.
dv format은 일반tv 화질로과 dvd play 용도로써, digi-beta나 beta-sp 로 더빙하면 화질과 프레임에 상당한 문제가 있을수 있어요, 그래서 제출용 포멧은 dv tape으로 요청하는것이 일반적입니다. digi-beta 나 beta의 경우 tv 방송물의 전송포멧이므로 dvd 보다 좀더 안정적인 포멧을 지원합니다, 같은 stadard 화질이라도 D1급임으로 분명 화질 차이가 있구요.
dudghkdls
글쓴이
2009.07.09 23:02
다시한번 친절한 답변 정말정말 고맙습니다 tll5090님^^
정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hshin2000님!
2000님 말씀대로 꼭 전력테스트 해보구 사용하도록 하겠습니다^^
어찌하는지는 잘 모르지만...^^
근데 전 일단 키노 조명 한 두개만 사용할 예정인데 그럼 그냥 대여해다가 집 콘센트에 바로 꼽아써두 되겠군요.
2000님 말씀대로 전력을 많이 사용하지 않으니....^^
참 그리구 말씀해주신 dv 제출용 부분은 그니까 제가 질문드린대로 그냥 캠코더를 프리미어와 1394 연결하구
바로 익스포트에서 tape 누르면 dv테잎에 캡춰가 된다는 말씀이시죠 hshin2000님?^^
글 등록 순으로 정렬되었습니다 글쓴이 날짜 조회
이제 고3올라가는 학생입니다, 따끔한 조언 부탁드려요. 7 사르트 2013.01.24 2709
여기까지 오게 되었습니다. 답변부탁드려도 될까요..??? 7 강슬기 2013.01.04 1990
눈 내리는 효과? 7 leesanin 2012.11.26 2638
연출부에서 일하고자 하는데요.. 7 앨리스jj 2012.10.26 2950
영화산업실무교육 이라는 데 말입니다. 7 thetree1 2012.07.13 2941
영화에 관심은 많지만 정작 아무 지식은 없는 사람이 영화에 관해 이것저것 묻습니다 7 정주의 2012.07.04 2805
친구를 배우로 쓰려는데 그 친구가 소속사가 있는경우...;; 7 뛰어난 감독 2012.04.26 3028
제작부 제작PD 이쪽일을 하고싶은데 정말 급여가 쉣인가요? 7 파파푸푸 2012.03.05 4109
편집 일을 생각하고 있던 학생입니다. 7 얼리버드 2012.02.29 3236
단편영화 카메라를 정했는데요 조언 부탁드립니다. 7 lakelove 2012.01.04 4691
영화에서 조명을 하고 싶은 고등학생 입니다. 7 이신우 2011.12.29 3627
27..살 영화감독이 되고싶은 학생입니다. 7 jungvsme88 2011.12.13 4368
7 7 yakyyham 2011.09.02 2886
영화를 만들려고 합니다. 7 천도골 2011.05.20 8716
정말 연출 공부하고 싶은데 아직 갈피를 못 잡겠습니다. 7 ppawolf 2011.05.18 8925
. 7 wish405 2011.03.30 4899
도움이 절실한 부족한 고등학생입니다. 7 다큐멘터리프로듀서 2011.02.18 5048
스물여섯에 드뎌 어느정도 진로를 정했는데.. 7 druruk 2010.05.02 3752
단편영화 제작관련 질문이요.. 7 새로운해가뜬다 2010.04.09 3918
정말 아무것도 모르는데 현장에서 일할 기회가 생겼는데요.(도와주세요) 7 highly 2010.01.29 3554
이전
21 / 753
다음
게시판 설정 정보
댓글이 달린 게시글은 수정/삭제 불가
답글이 달린 댓글은 수정/삭제 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