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게시판
15,031 개

모르는게 있으면 물어보고, 아는게 있으면 가르쳐주고...
질문은 최대한 자세히 성실하게, 답변은 친절하고 다정하게

고속촬영시 조명

혜화동혁명가
2013년 07월 20일 06시 10분 54초 2222 6

학생단편영화를 준비하는 학생입니다.
이번영화에서 고속촬영을 해보고싶어서 준비중에있습니다.

오디마크3 , 고프로 로 고속촬영 준비중에 있는데요.. 정보를 모으다 보니 고속촬영을 할때는 조명이 중요하다는 말을 많이 들었습니다.

1000프렘이 넘는 고속촬영을 생각하는것이 아닌 60~120프레임 정도의 고속촬영을 할때도 실내조명이 많이 문제가 되나요?

그리고 고속촬영에 있어 오두막3랑 고프로중 어떤게 더 효율적일까요? (본캠은 오두막3입니다.!)

많이 알아봤지만 너무 어려운 정보들만 있어서 필매에 질문하게 되네요.. 선배님들의 소중한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Profile
애호가
2013.07.20 11:29

화질로 본다면 mark3 지만, 고프로 hd, 제가 알기로 120 프레임까지 갈껄요.

60 프레임과 120은 전혀 결과가 틀리게 보입니다. 저라면 고프로...용케 잘 찾았군요.

고프로 이외엔 저렴한 비용으로 120프레임 이상 고속촬영 가능하지도 않지요. 소니쪽은 고속으로 갈수록 화질이 너무 떨어져서...고프로 좋아요. 고프로 촬영 + optical slow mo 하면 아주 느린 화면 만들수 있을겁니다


실내조명 문제가 되것지요, 고속프레임에서 광량이 떨어지기도 하고, 이미 전 질문에서 말했듯이 형광등 셧터문제가 있을수도 있구요. 왜 야구중계보다보면 프레임에 줄가듯이....


대체로 60에서 괜찮으면 120도 괜찮은건데,....물론 누구 말보다 스스로 테스트가 항상 정답이지요

혜화동혁명가
글쓴이
2013.07.21 00:02
애호가
아.. 정말 항상 구체적인 답변 감사드립니다.
예 물론 테스트는 해볼것인데요.. 테스트 하는것도 돈이라 많이 알아보게 되네요.. ㅠ 찾아보던중 fs700이란 기종이 있더라고요.. 화질도 좋고.. 2k 240프레임? 인가 까지 지원이 된다 들었는데... 대여비가 mark3랑 그리 차이가 나지 않아서..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저렇게 좋은 기종이면 fs700으로 캠을 확정하고 싶은데....
제가 생각하지 못한 오류가 있을까 싶어서요...
예를들면 바디만 쌀뿐이지.. 필수 악세서리가 비싸서 결국에 비싸진다던가.. 고속촬영전용캠이라.. 원캠으로는 힘들다던가.... 그런것들이 있을까봐 걱정이 되네요.. 자꾸 귀찮게 해드려서 정말 죄송합니다 ㅠㅠ
Profile
애호가
2013.07.21 01:56
혜화동혁명가

http://vimeo.com/42663128

http://vimeo.com/42984066


어후 이게 레탈가격이 그렇게 되었군요

위의 비디오 리뷰에 의하면 저조도에서의 촬영결과가 꽨 좋군요.

full hd 240 프레임에 저정도 노이즈 레벨이면 고민할께 없어졌군요.


기본렌즈는 따라와 줄것이지만, 확실이 알아봐야것지요.

카메라는 원래 씨네마캠으로 나온것이니 룩이 괜찮아 보이긴 합니다

중요한것은 익숙하지 않은 카메라를 촬영 주카메로 쓴다는건 그 자체가 위험입니다.

일반 dslr 과의 차이는 렌즈선택 부분이 좀 크겠군요


저두 못다뤄 봐서 뭐라 할수 없지만, 저라면 하루정도 24시간이라도 저걸 가지고 놀아야지 좀 감이 생길듯 한 카메이군요. 물론 저라면 제가 익숙한 카메라를 주카메라로 사용하고 fs는 하루 12시간 렌탈로 쫄라서 반갑으로 빌려쓰것지요.


scorsese9
2013.07.22 02:21

고속촬영이란 같은 시간에 많은 프레임이 찍힌다는 겁니다.

그러면 셔터스피드도 빨라지죠. 24프레임이 1/48이라면 48프레임은 1/96이 되야하겠죠.

물론 이건 필름영화 카메라를 기준으로 했을 때입니다. 제가 사용해보니 오두막 같은 DSLR은 동영상 촬영시 셔터스피드를 1/30으로 놓든 1/60으로 놓든 밝기만 변하고 플리커가 생기거나 피사체의 움직임이 흐르거나 하는 건 전혀 없더군요. 동영상은 셔터스피드가 기계적 셔터가 아니라서 그런거 같습니다.

 

아무튼 기본적으로 셔트스피드도 빨라지니 당연히 조명을 더 밝게 해야 합니다.

노출계가 있다면 정확한 노출이 산출 되겠지만 그것이 필름이 아니라 디지탈카메라에도 스탠다드하게 적용되는 지는 모르겠네요. 기본적으론 카메라 속도가 두배가 되고 셔터스피디도 두 배가 되면 조명의 밝기도 두 배로 밝혀야 됩니다. 아님 조리개를 열어서 빛이 두배 들어오도록 해야겠죠.  

혜화동혁명가
글쓴이
2013.07.25 03:07
scorsese9

dslr 셔터 테스트 해 본 결과 별다른걸 못느꼈는데..  기계적 셔터라  그렇군요..

친절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  꾸벅 ㅜㅜ 

Profile
kjysls
2013.07.25 02:50

애호가님께서 하신 말씀대로 주카메라는 mark3로 하시고 고속부분만 fs700으로 하시는게 맞을 듯 합니다. 그리고 고속에서 fs700은 광량이 좀 부족하면 화면이 약간 흐르는 느낌이 듭니다. 셔터 문제기도 하겠지만 제가 써본 봐로는 그런 현상이 좀 나오더군요. 그리고 기본적으로 고속 촬영은 광량 충분히 생각 하셔야 원하시는 양질의 결과물이 가능 하실겁니다. 일반 형광등이나 백열등은 노이즈나 컬러 부분에서 고민 많이 하시게 됩니다. 어떤 걸 찍으실지 말씀해 주시거나 현장 로케이션 사진이라도 올려 주시거나 쪽지 주시면 같이 고민해 드릴게요 수고하세요

글 등록 순으로 정렬되었습니다 글쓴이 날짜 조회
학생들이 만든 단편영화 영상에 질문있습니다. (영화 촬영에 대해 경험 많으신 분 6 진수 2014.03.15 2086
사람 잘린 머리 6 마조ek 2014.01.19 1826
현재 고3.. 촬영감독이 되고싶습니다. 꼭읽어주세요. 6 crush4804 2014.01.03 1368
21살 고졸 여자입니다. 6 영화님 2014.01.01 2105
영화감독이 되고싶어요 6 영화보는중 2013.11.30 1644
맥북을 사려고 하는데 어떻게 사야 할까요?! 6 물만두두만물 2013.11.07 1237
돈을 모아서 영화 편집이 쉬운 저만의 노트북을 사려고 하는데요2 6 포도맛로션 2013.10.21 1519
영상전공학생입니다. 질문좀.. 6 바나나킥크 2013.08.08 2085
영화 촬영에 관한 질문 좀여 6 바나나킥크 2013.07.31 1546
고속촬영시 조명 6 혜화동혁명가 2013.07.20 2222
실제 일반 외국인을 배우(모델)로 채용하는 문제에 대해서... 6 leftnew 2013.04.04 1580
와이어리스 사용질문입니다. 6 건실청년 2013.03.08 2119
영화 제작회계 일을 시작하고 싶습니다. 6 jesusddal 2013.03.02 3491
필커 선배님들께 조언 부탁드립니다 6 하하h 2013.02.22 3619
단편작업을 위한 카메라 추천 부탁드립니다 6 아니마퇴르 2013.02.20 2537
상업영화연출쪽 스태프 모집하시는 분들께 여쭙고자 합니다. 6 휘동2 2013.02.03 3298
영화 미술팀 페이가 궁금합니다. 6 wldus1709 2013.01.14 6539
dslr촬영 6 skaks9472 2013.01.09 3776
영화감독이 꿈인 중학생인데요. 6 에헤라똘호 2012.12.11 1730
고보, 실크, 키노가 어떻게 쓰이는 장비인가요? 6 까망머리 2012.10.20 3534
이전
31 / 752
다음
게시판 설정 정보
댓글이 달린 게시글은 수정/삭제 불가
답글이 달린 댓글은 수정/삭제 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