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게시판
15,045 개

모르는게 있으면 물어보고, 아는게 있으면 가르쳐주고...
질문은 최대한 자세히 성실하게, 답변은 친절하고 다정하게

학생들이 만든 단편영화 영상에 질문있습니다. (영화 촬영에 대해 경험 많으신 분 환영)

진수
2014년 03월 15일 13시 53분 39초 2088 6




몇몇 학생들 작품보면 영상에 아마츄어? 라고 표현해야할지 모르겠지만,

흔히 보는 영상들과는 조금 다른 면이 있잖아요. (영상이 어설퍼보인다거나, 영상이 꽉차지 않는 다는 아쉬움과 조잡한 면-적절한 표현을 위해 단어를 조금 과격히 사용했습니다. 양해바랍니다-)


그런것들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제 생각엔 필터, 렌즈, 앵글의 문제인거 같은데...


이번에 단편영화를 찍을 것 같은데 제가 아직 영화에 대한 견문이 좁아서..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Profile
DBSwie
2014.03.18 04:16

꽉차지않는다는건...영상주위에 검정색 사각박스가 생기는것말씀하시는건가요? 그건아마 편집시 출력의문제가아닐까합니다...가끔 해상도같은거 고려안하고 여러번 변경해서 렌더링했을때 저렇게되더군요..예전에 편집처음할때 몇번...아니면 아나몰픽을말씀하시는건지?

보통 극장에서상영하는영화비율이 2.35:1인가 그럴거에요(실제론2.36:1이라는말도있고..아무튼)

그런데 그런 비율을 만들으려면 일반적인 카메라에서는 그냥은 못만듭니다. 보통 영화에선 아나몰픽 렌즈를 사용한다고 들었습니다만...가격이 그리 싸지도않고...편집때 번거로움등의 문제가 있기에 학생독립단편에서는 16:9로 촬영할때 레터박스를 고려하여 액정에 표시를 하여 앵글을 잡고 편집시 크롭을 하는 방법을씁니다..그러나 제가볼때는 16:9도 별로 아마추어같다거나 그런건 별로 못느꼈습니다...

 

일단 촬영은 노출은 절대로 자동노출을 사용하지 않고 녹화중일때에는 아~~주 극히 특별한경우가 아닐때에는 실시간으로 설정값을 바꾸지 마세요

 

한씬에 원씬원컷은 일부러 의도한것이니면 가급적 피하시고 풀샷은 씬 앞쪽에 설명하는용도로 쓰고 자주쓰지마세요 그리고 컷이바뀔때 다음컷 시작하는부분부터 촬영하지 말고 그 전 동작을 다시한번 반복하여 촬영하세요 그래야 움직임이 튀지 않아요. 그리고 인서트컷은 되도록 많이찍으세요 촬영때 중간중간 쉬는시간에 주변을 유심히 살피고 최대한 클로즈업샷들을 많이 찍어놓으세요 움직임이 튈때 중간중간 이 클로즈업샷들을 넣으면 자연스럽게 컷이 바뀝니다.

 

그리고...되도록 수동초점을 사용하세요.

 

음향은 내장마이크로 사용하지 마시고...장소마다 최소2~3분이상 현장음을 따세요 편집때 엠비언스로깔아주면 소리가 튀는것을 완화시켜줍니다.

 

아시겠지만 녹화가 돌아갈때 줌인,아웃은 하지마세요...

 

가끔 제 주변친구들이 핸드헬드의 매력에 빠져 처음부터 끝까지 헨드핼드로 촬영하는 경우를 몇번봤습니다. 헨드핼드를 절대 남용하지마세요 헨드핼드가 어울릴만한 그런 의도가 있는(?)장면에만 사용하세요 헨드핼드만 사용하면 일단 처음부터 끝까지 아이레벨만 사용하게됩니다. 그리고 카메라의 작은화면에서는 그럴듯해보이겠지만 컴퓨터 모니터로본다면 어지러울가능성이 큽니다. 극장의 스크린은 더더욱 어지럽죠...특별한경우가 아니라면 삼각대에 올려놓고 촬영하는게 기본중에 기본입니다.

 

과도한 장비사용도 금물입니다. 본인이 사용할 능력이 되는 장비들만 구성하세요 되도록이면 스테디캠은 꾸준하게 연습하신분이아니시다면 피하세요 그거 맞춘다고 현장에서 몇시간날려먹을가능성이 큽니다. (삼각대를 숄더그립 대용으로 이용할수있는 방법도 있습니다. 참고하세요)달리트랙같은건 휠체어나 슬라이드캠(강추)으로 대체하세요 

 

카메라 액정에서 화사하게 보인다면 모니터로봤을땐 과다노출일가능성이높습니다. 카메라 액정에서는 약간 칙칙하다싶을정도로 찍어야 나중에 후보정으로 만질수있습니다.

 

또, 슬레이트는 아~무리 급해도 무조건 치세요 어렵다면 씬넘버와 컷수,테이크만 크게 말해주세요 나중에 편집하려고보면 동시녹음 테이크만800테이크가 넘습니다.

 

마지막으로, 촬영대본 혹은 콘티는 무조건 촬영전에 완성되어야 합니다. 촬영대본없이 촬영하면 시간도 배로 걸릴뿐만아니라 결과물도 좋지 않습니다.

 

장비나 기술력..중요하죠 중요합니다. 하지만, 좋은장비와 뛰어난촬영기법보다 배우의 캐릭터소화력, 감독의 연출력, 좋은시나리오 이 셋만있으면 당해낼수가 없습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시나리오에 너무 부담을 갖지마십시오. 연출을하는입장에서는 연출력이 정말로 중요합니다. 그리고 영화감독이란게 예술성만 있는것이 아니라 사람을대하는것이 50퍼센트는 차지한다고 생각합니다...

 

두서없는 글 죄송합니다...그리고 제주제에...ㅠㅠ

 

진수
글쓴이
2014.03.20 11:00
DBSwie

마치 저처럼 촬영초짜에게 전해주는 꽉찬 설명서 같네요! 고맙습니다! 참고해서 좋은 영상 만들겠습니다.


그리고 '꽉 차지 않는다'는 말의 뜻은 영상이 자연스럽지 못하고 풍요롭지 못하다는 뜻이었습니다. 제 말이 모호했네요. 일반 학생들이 찍은 영상들 보면 부자연스럽고 약간 아마츄어틱해서. 장면전환이 매끄럽지 못하다거나, 쇼트의 활용이 부적절하다거나 너무 적다고 느껴져서요.. 

Profile
DBSwie
2014.03.21 17:06
진수

장면전환이 자연스럽지못한건 여러가지가있는데 대표적인게 움직임이 튀는경우, 소리가 매끄럽지못하게연결되있는경우, 카메라 질감이 바뀌거나 세팅값이 크게바뀐경우...가있는것같습니다. 움직임이 튀는건 위에서 말한것과같이 컷이 바뀔때 컷이 시작하는동작부터하지않고 그전동작부터 끝나는동작 뒤까지 해서 곂치게 촬영을 해서 여유분을 확보해야합니다. 소리가 튀는것또한 위에서 말한것과같이 엠비언스를 따두시면 어느정도 되고 만약 엠비언스를 깔았는데도 튀거나 대사가잘안들리면 후시녹음을 해야합니다. 후시녹음은 대사만 녹음해야하는것이아니라 엠비언스를 여러가지따고, 폴리도 따야되기때문에 무척어렵습니다. 때문에 학생이나 소규모 단편영화에서는 기대하기힘들죠 그래서 동시녹음이 매우 중요합니다. 음향감독을 하지 않더라도 연출자이시면 영상센터에서 하는 동시녹음강의를 가서 배우시는게좋습니다.

카메라질감이튀는경우도있는데 보통 카메라는 카메라마다 고유의 질감이있습니다. 특히 색감은 제조사별로,카메라별로 매우다릅니다. 또한 렌즈도 렌즈마다 색감같은것이조금씩 다릅니다. 한두번밖에 연출하지못하는 장면은 멀티캠을쓰면좋지만 아닐경우는 카메라 한대로하는것이 기본입니다. 또한 세팅값을 자주바꾸지마세요 셔터스피드는 24P면 1/50으로 고정해두는것을 권장합니다. 하지만 상황에따라서 바꿔도좋습니다. 좀 역동적인 장면이라면 셔터스피드를 빠르게해버리면 툭툭끊어지는느낌때문에 보기않좋을수있구요 아무튼 한씬에서는 세팅값을 크게 바꾸지 않는게 좋습니다.

 

그리고 쇼트...는 일단 프리단계에서 스토리보드를 구상할때 연출의 의도에따라서 쇼트를 구성하는것이 좋습니다. 이건 교육을 받아보면 도움이 되지만 그렇지 못할경우에는 본인이 분석하고싶은 영화를 몇개 정해서 스페이스바를 누르면서 구도와 쇼트를 보면서(아예 스토리보드를 따라그리면서하면 매우좋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이런쇼트를...하면서 공부해보시고 스토리보드를 만드는것이좋습니다. 그리고 생각한것과같은구도가 안나올수도있으니 핸드폰이나 DSLR같은걸 가지고 직접 현장에 가서 사진을 찍어보면서 스토리보드를 만드는것이좋습니다.

 

그리고 연기는 연기를 하는것이 보이는것보단 "반응"하는 연기가 좋습니다. 무슨소린지 글쓰는저도...ㅋㅋㅋㅋ 아무튼 우리는 평소에 친구들과 대화를할때 대사를 외워서 말하는게 아니라 친구의 말에,행동에 반응을 하는것이잖아요 그런연기가 자연스럽다는거죠 학생영화에 보통 친구들로 출연진을 구성하고 촬영하다보면 이런게 눈에띄어 부자연스러운 연기가 나올가능성이 큽니다. 촬영장비를 조금아끼더라도 배우에 돈을 조금 투자해서 좀더 좋은배우를 구하는게 좋습니다. 그리고 "반응"이 자연스러우려면 일단 서로 친밀감이 있어야 합니다. 배우들끼리, 스탭들끼리 친숙도가 높아져야 좋은 장면이 나옵니다. 친밀감을 높이는데 신경을 조금 써주시면 좋을것같아요 촬영분위기는 항상 즐겁고화목한분위기여야합니다. 스탭들은 절대로 짜증을내거나 분위기를 다운시키면안됩니다. 스탭들이 지친모습을 배우들이 본다면 혹은 스탭들이 분위기를 다운시킨다면 배우들은 부담감을느껴 부자연스러운 연기가 나올수밖에없습니다. 배우들을 배려해서가아니라 오로지 본인의 작품을위해서라도 항상 밝은표정으로 촬영에 임해주셨으면좋겠습니다.

진수
글쓴이
2014.03.23 17:17
DBSwie
고맙습니다! 이렇게 자세히까지 가르쳐주시다니...
빨리 영상찍고 싶은 맘이 더더더더 샘 솟아요!!!
bboy97
2014.04.13 11:40
화면이 비어 보인다면 앵글이나 사이즈 문제도 있겠지만 제 개인적으로는 미술입니다 독립이나 단편은 예산때문에 미술에 신경으 아쓰게 되는데. 미술이 엄청 중요하답니다
filmfilm
2014.04.13 16:51

몇가지 잡지식으로 꽉차게 만들수는 없습니다

공부하시다 보면 차차 알게 되는 부분도 있고

영원히 모를 부분도 있습니다

타고난 재능과

동시에 후천적인 노력이 필요한 일인거죠

경험이 별로 없는 아마츄어라서 당현히 허접해 보입니다

그걸 채워보려고 전공도 하고 조수생활을 하기도 하는거죠

그러나 해도 안되는 분들도 많이 보았습니다  유감스럽게도 말입니다  대부분 그러하더라고요

그나마 비어 보이는걸 발견 하셨으니 다행입니다

이게 보이기 시작하면 

앞으로도 많은것을 발견하시게 되고

문제를 해결하다보면 많은걸 배우고 잇는 자신을 알게 됩니다

열심히 탐구하시면 뭐라도 남을겁니다


http://cafe.naver.com/scenariowriter/2792


글 등록 순으로 정렬되었습니다 글쓴이 날짜 조회
<내사랑 은장도> - 제작사 조이엔터테인먼트 의 홍보사는 어디인가요? 1 kbkkyoko78 2003.06.19 2731
감독의자? Director's Chair 살 수 있는 곳 좀 갈켜주세요^ 3 eazyup 2003.06.19 5815
"지구를 지켜라" 소품 구할수 있을까요? 3 geenie623 2003.06.21 4365
촬영회수는... jos60 2003.06.23 1970
올가미 협찬이여....? jamong75 2003.06.23 1859
급구! 자막을 깔았는데 글이 안보여서요. 연락 바랍니다. rlee501 2003.06.23 2027
스토리보드는 누가 작성하나요? 4 leesanin 2003.06.26 1758
시나리오로 성공할수 있나요? 1 ckdals00 2003.06.28 10668
영사기에 필름을 걸어놓고 영화를 보고 싶어요 1 henrysuh 2003.06.30 1941
스토리보드 작업시.. 4 leesanin 2003.07.01 8099
시나리오 완성 한 후의 일... 4 mulimm 2003.07.01 7698
메텔이 천년여왕이예요 ? 3 jelsomina 2003.07.02 2459
예산안짜기 도와주세요 3 tlcptm 2003.07.02 2054
장화홍련 포스터 디자인 업체가 어디에요? 2 kbkkyoko78 2003.07.02 1841
연출부에 들어가려면 어떡해야 하나요? 2 sarang9009 2003.07.02 8086
폴리네시안 여성모델의 훌라춤 모습 포스터를 제작해야 하는데... 1 drfilm 2003.07.03 3269
편집기사의 보수관련 1 mjs21 2003.07.03 2059
김인식 감독의 로드무비가 궁금해요 1 daewang 2003.07.04 1740
VOD 판권 판매 대행사를 알수 있을까요? 2 rori7 2003.07.05 1714
흑백촬영에 대해.... 1 amoo 2003.07.06 2001
이전
30 / 753
다음
게시판 설정 정보
댓글이 달린 게시글은 수정/삭제 불가
답글이 달린 댓글은 수정/삭제 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