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게시판
15,040 개

모르는게 있으면 물어보고, 아는게 있으면 가르쳐주고...
질문은 최대한 자세히 성실하게, 답변은 친절하고 다정하게

인생최대고민입니다. 선택은 제 일이지만 들어주세요

영화페인
2014년 03월 30일 21시 14분 26초 2695 7

 

저는 영화가 좋아서 일찌감치 고등학교때부터 방송기술을 배우고 있습니다. 지금은 이제 취업과 진학의 갈림길에 있구요.

미디어 분야쪽이라 선생님들께서 유명하진 않더라도 취업자리를 알아주십니다. 저는 뒤늦게 영화시나리오작가를 꿈꾸게

되어서 대학으로 진학에 공부를 더하고싶습니다. 하지만 제 성적으로는 이름있는 대학에 진학할 확률을 거의 없구요..

류승완 감독은 영화계에는 학력이 제한없다고 했지만 그런것같진 않습니다.  무엇보다 인맥이 중요하다는 것ㅇ을 깨달았구요, 하두 영화취업소리를 너무많이 들어서 흔들립니다. 지방이름모를 대학에가서 영화공부를 해도 후회없을 것같은데 미래가 불투명하구, 일찌감치 ㅇ고등학교때부터 스탭쪽으로 취업을 한다면 경력과 인맥을 쌓을 수있습니다. 하지만 언젠가는 대학에 진학해 공부를 할것입니다. 거꾸로가나 나중으로 가나 똑같을 것같은데  어떻게할까요? 의견좀 내주세요

스탭으로 취업하고 나중에 공부를 할까요? 아님 그냥 지금 진학을 할까요

제발 보시면 아무말이라도 조언 부탁드립니다.

 

영화가 왜 하고싶나?

저는 영화로 스트레스를 풀 만큼 영화광입니다. 그리고 시나리오를 썻고, 어릴 적부터 책을 많이 읽은지라

남들은 흥미롭고, 재미있게 바줍니다. 영화를 보면서 언제가 한번더 보고싶고, 계속 생각나게 하는 영화가있습니다. 저는 계속 생각나고, 슬프거나 기쁠 때, 한번 더 보고싶은 그런 영화의 스토리를 쓰는 작가가 되고싶습니다.

연출을 꿈꿧지만 제 능력의 한계가 와서 이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영화의 시나리오를 쓰는 것을 언제나 즐겁구요.

 

영화의 연출부 막내로 대학졸업하고 가는 사람도 많지만 영화만 무조건 좋다고 다 영화인으로 성공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꺠달았습니다.현장경험을 배우고, 공부해서 나중에 대학으로 진학할까요?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Profile
JEDI
2014.04.02 17:16

저는 일단 열심히 공부하셔서 대학에 가시라고 권하겠습니다.

현장경험은 좀 있다 해도 되지만, 공부는 정말 때가 있습니다.

나중에 하면 훨씬 더 힘들어집니다.

현장에 가는게 급한것도 아니구요..

대학에 가서도 시나리오 열심히 쓰시고, 단편작업도 하시면서 계속 트레이닝을 하실수 있습니다.

꼭 관련학과가 아니어도 좋고, 일류대학이 아니어도 좋지만,

기왕 준비를 하시는거니까 "이름있는 대학에 진학할 확률이 없다"는 생각은 접으시고

미친듯이 공부해서 조금이라도 좋은 대학에 가시기 바랍니다.

인생 한번 이고 기회도 한번 입니다.

나중에 후회하자말고 지금 기회가 있을때 최선을 다하십시요

영화페인
글쓴이
2014.04.07 17:15
JEDI

와 감사합니다 사실 답글이 안달려서 저혼자 생각하다가 대학쪽으로 마음잡았거든요.

늦게준비해서그런지 제가 제일좋아하는 잠도 못자지만 노력하갰습니다. 나중에 현장에서 만나면 좋겠네요

Profile
askcf22f
2014.05.05 08:10

대학이 답인듯 합니다. 이왕 대학가시는거 이름있고 좋은 대학을 목표로 하세요.. 

filmfilm
2014.06.07 22:30

더 중요한것은 

스스로 공부해가는 의지 입니다

이름있는대학에서도 강의가 대충 넘어가는 케이스가 많습니다

학생 스스로는 완전 자기 하기 나름이라 

간판과 실력이 비례하지 않는 문제가 생깁니다


본인 성적에 맞는 대학을 찾되

스스로 노력한것 ㅁㄴ큼난 공부가 됩니다

그걸 이해 못하시면

삽질로 끝납니다


http://cafe.naver.com/scenariowriter

shinji02
2014.06.26 14:23

대학도 중요하지만


본인의 일관성있는 철학과 영화 인생에 대한 가치관 정립이 가장중요할 것입니다


다량의 독서를 통해서 원하는 답이 나올떄까지 


깊이 탐구하는 능력을 키우는것이 나중이라도 영화를 만들때에


직접적인 도움이 될 것입니다 

shinji02
2014.06.26 14:27

기술은 충분히 발달하였고 


본인이 그림을 그리는 어떤 그림이 있다면 꾸준히 발전시켜서


그 스토리분야 만큼은 누구도 따라오지 못하도록 탁월함이 요구되고


상상이 영화내적인 현실로 변화하는


과정에 대해서 아주 디테일하게 정립되어 있고


그내용을 프레젠테이션 하고 스스로 감독이 될수 있을만큼의 역량을


키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를 위해서 시간과 노력의 배분과 생활이 중요하겠죠


시간은 어떻게든지 흘러가게 마련이니 


주워담아서 본인이 이루고자 하시는 꿈에 좀더 한발짝씩 다가가는


좋은일들이 계속 있기를 바랄께요


그렇게 된다면 기타 여러가지 다른 인맥과 주변환경들은 그에 맞도록 


스스로 조정하는 능력도 키워질 것입니다 용기가 있으면 못할일이 없죠 



shinji02
2014.06.26 14:29

끝으로 무엇이든지 기록하는 습관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생각과 일의 과정의 기승전결을 분명히 하여


문장으로 끝나는 


기록의 습관을 통해서 생각하는 능력이 키워지고


그것은 곧 타인과의 의사소통의 훈련입니다 


디테일한 면까지 무리없이 의사소통하는 능력이 구비되어야만


영화이든 무엇이든지 우위에 서서 지도하는 리더의 위치까지


성장하게 될것이라 생각해요 

글 등록 순으로 정렬되었습니다 글쓴이 날짜 조회
늦은 나이에 프로듀서 길 걸을 수 있을까요? 7 마루나루 2019.01.02 621
영화 조명 막내 급여.. 7 용용쓰 2018.07.16 1229
영화미술 관련해서 질문 드리고 싶습니다!!!!!! 7 박태태 2018.04.29 595
영화감독 지망생이 궁금한 것 몇 가지 여쭤 봅니다. 7 Silencer 2018.04.10 443
혹시 bolex 16mm 카메라 사용해보신분 계신가요? 7 볼렉스16 2018.01.31 439
여기 등업 기준이 뭔가요? 7 레디액션맨 2017.12.21 232
단편 영화 스태프 페이 적절한 금액은 얼마정도로 해야 할까요? 7 kdashy 2017.10.16 2586
카메라 하나도 모르는 사람이 쓸만한 카메라는 뭐가 있을까요? 7 trash_sh 2017.09.13 464
저작권 및 미지급 원고료 지급 관련 질문 7 뒤돌려차기 2017.08.10 550
버스 실내 조명 조언부탁드려요 7 shhhm 2017.03.07 527
운영자님께 문의 드립니다. 7 미운오리 2016.12.07 141
대인기피증.. 7 페이츄시 2016.10.24 482
뉴욕필름아카데미 관련하여 질문이 있습니다. 7 2방인 2016.03.17 2226
28살에 영화편집, 그를 위한 한예종을 향한 도전은 너무 늦은 걸까요? 7 문뎅이a 2016.01.18 1932
동시녹음질문이요 7 bh 2015.10.30 1462
이 효과는 무슨효과고 어떤식으로 만들 수 있을까요? 7 임암스트롱 2015.10.08 343
페이 질문... 7 힘내보자 2015.07.28 727
연기자가 되고 싶습니다 7 맹기 2015.04.05 569
31살...아니 내년엔 32살되는 남성입니다. 제글 꼭좀 봐주시길 부탁드립니다. 7 카운슬러 2014.11.17 2485
트라이포드 수리 맡길 수 있는 곳 있을까요? 7 shit88 2014.07.31 1264
이전
19 / 752
다음
게시판 설정 정보
댓글이 달린 게시글은 수정/삭제 불가
답글이 달린 댓글은 수정/삭제 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