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게시판
15,046 개

모르는게 있으면 물어보고, 아는게 있으면 가르쳐주고...
질문은 최대한 자세히 성실하게, 답변은 친절하고 다정하게

단편영화 카메라를 정했는데요 조언 부탁드립니다.

lakelove
2012년 01월 04일 17시 59분 09초 4691 7

 최종 결과물을 스크린 상영으로 하고

고속촬영이 필요하고 예산을 고려해

캐논 7d로 정했습니다.


궁금한 게 있습니다.


우선


1. 캐논 7d로 촬영 카메라로정했는데 최종 결과물이 스크린 상영이 목적입니다.

    화질에서 문제 되진 않을까요?


2. 역시 스크린 상영이 목적이기 때문에 음향 녹음 등에도 크게 신경 써야 할 듯 합니다.

    그런 걸 고려 할때 후반 작업에서 어떤 편집 프로그램을 쓰는 것이 가장 좋을까요?

    후반 작업은 미디액트에서 하기로 우선 정했습니다. 당연히 미디액트에서 지원되는

    편집 프로그램을 다시 익혀야 하겠지만 다른 프로그램이 스크린 상영 퀄리티에 더 좋다면 눈에 띄는 차이가 난다면

    또 훨씬 더 많은 비용이 추가 되지만 않는 다면 미디액트에서 지원되지 않는 편집 프로그램이라도 괜찮습니다.


3. Canon 7d V.s. 5d mark II  비교 화면을 아주 많이 찾아 봤습니다.  룩이 7d가 5dm2 보다 좀 더 날카롭고 더 선명한 느낌이 있어서요

    촬영한 사람은 같은 조건에서 촬영했다고 게시 했지만 원래 룩이 7d가 5dm2 보다 좀 더 날카롭고 더 선명한 느낌이 있나요?

    확실한 차이를 느껴 보신 분 계시면 답변 부탁드립니다.


3-1  5 dm2 가 고속촬영이 안되어서 7d로 결정했는데요.

   최종결과물을 스크린에서 볼 때 고속 촬영 아닌 장면에서 7d가 5 dm2 보다 화질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나요?

  

3-2 최종결과물을 스크린에서 볼 때 고속 촬영 아닌 장면에서 7d가 5 dm2 보다 화질이 떨어지는 문제가 만일 있다면

      5 dm2 도 같이 사용해서 찍으려 합니다.

      이럴 경우에 편집하고 스크린에서 보면 7d로 찍다가  5 dm2로 바꿔 찍은 장면이 나오면 갑자기 딴 영화를 이어 붙인 듯한

      느낌이 날까요?


   3-3  그리고 7d로 찍다가 5 dm2로 바꿔 찍을때 장비 세팅을 다시 해야 할 것 같은데 그 때 걸리는 시간이 많지 않을까요?


     하루에 다 찍어야 되기 때문에 촬영 시간을 많이 지체하게 된다면 결과물 퀄리티를 위해

     촬영 중 기종 변경 계획을 철회 하려구요.


4. 캐논 7d 로 찍으셨던 분들 계시면 촬영시나 촬영 준비 하시면서 놓치쳐서 아쉬웠던 일 있으시면

    조언 부탁드립니다.


5.  캐논 7d 로 햇빛이 계단 출입구를 통해서 들어오는  실내 지하보도 (밤에는 형광등이 있어서 아주 밝습니다. 낮에도 형광등 없이도 밝습니다)에서 낮에 조명을 켜고 찍을 건데요.

이 장소에서 낮에 캐논 7d로 실내에서 조명 켜고 찍을 때 특별히 조심할 만한 일이 있을까요?


   


이 곳에서 자주 정보를 얻습니다. 저도 다른 분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정보를 드리는 때가 어서 왔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지금 이 고마움을 나눠드릴 때가 오겠지요.


    새해 건강하시기 바랍니다.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maybelle
2012.01.04 22:24

 7D/5D는 이미지의 특성이 차이가 날뿐 화질은 큰 차이는 없을겁니다. 다만 둘다 8bit 데이타기 때문에 색보정이 제한적이구요. 편집 프로그램과 화질은 차이는 적용코덱에 따라 달라지는 건데 Final Cut Pro가 Prores를 사용하기 때문에 유리합니다.

madrabbit7
2012.01.05 11:53

 풀프레임인 5D와 크롭바디인 7D는 화질 차이가 좀 납니다. 어두운 데서 찍을 때도 차이가 나고요. 카메라를 섞어써도, 컨티뉴이티가 중요한 부분에서는 가급적 피하시고, 씬이 달라지거나 시퀀스가 달라지는 부분에서는 괜찮습니다. 7D의 60P에서 5D의 24P로 넘어오는 것은 분위기의 차이가 많으니 별 문제는 없어 보입니다. 카메라보다, 픽쳐스타일이 중요한데, Technicolor cine style이란 걸 까셔서 권장 세팅으로 셋업하세요. 5D의 기본 콘트라스트가 높아서 표준으로 찍으면 나중에 후보정에서 애먹습니다. 그리고 렌즈 필터 빼고 찍는 거 잊지 마시고요. 1회차 촬영이라면 카메라 섞어쓰는 것보다 7D 하나로 찍는 걸 권합니다. 계단을 오르내리는 행인들, 어떤 삐딱한 사람의 시비 걸어옴, 촉박한 시간, 거의 쓸 수 없는 시끄러운 사운드... 등이 예상되는데, 이런 것에 대한 대응이 5D냐 7D냐 보다 더 중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장비까지 손에 익지 않으셨다니, 더욱이 한 가지 장비를 권하구요... 편집 프로그램은 맥의 파이널컷, PC의 에디우스, 프리미어 프로 정도면 될 것 같네요. 베가스는 코덱이 좀 시원찮아서...

Profile
hshin2000
2012.01.05 13:29

 윗 댓글에서 좋은 말씀들 하셨듯이, 화질의 차이보다는 노이즈의 특성에서 차이가 좀있으며, 픽쳐 스타일에서 좀더 차이가 있것지요. 개인적으로는 픽쳐스타일에서의 contrast 와 sharpness를 0값에서 공통으로 촬영하고 후반기에서 색보정을 건드리는것이 가장 안전하다고 생각합니다. 화각의 차이가 좀 있구요.  카메라를 섞어쓰는 것은 님의 후반기 작업능력이 어찌되는지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닙니다. 색보정과 프레임을 조절할수 있는 능력이라면, 사실 큰 문제는 없을꺼구요.


그게 아니라면, 차라리 10-35mm= 5d, 50-200 = 7d 처럼 화각을 나눠 사용하시는것이 좀더 현명한 방법일겁니다.

왜냐면 카메라에서의 셋팅은 셋팅이고 렌즈에서의 화질과 색감의 차이가 있어요. 화각을 달리하면 그런 위험을 조금 줄여갈수 잇습니다. 참고로 자이즈,니콘, 케논...등등 화질,색감 모두 기종에 따라 차이가 큰 렌즈들입니다...잘못 섞으면 카메라 섞는것 보다 렌즈 섞는것이 더큰 차이를 만듭니다. 종종 니콘수동과 캐논자동렌즈를 섞어쓰는데,..상당한 색보정 필요합니다.


무엇보다, 영상칩 사이즈와 상관없는 bit rate의 한계 때문에 초당 스캔할수 있는 이미지 화질이 일반 prosummer 카메라를 못따라가는건데....그건또한 카메라의 펌웨어를 업그레이드 시켜주는 magic lattern 이라는 놈으로 bit-rate을 높혀서 촬영할수 있습니다. 매직랜턴 이놈 정말 쓸만한 놈이데 아직 많이 사용안하더군요. 단지 bit-rate을 높혀주면 화질에서 유리하지만 저장 용량이 더 필요해서 플래시 메모리 촬영시간이 줄어들수 있습니다.  님처럼 극장용 포멧 상영에서는 중요한 화질 문제에서 중요한듯 싶어 언급합니다. 찾아보면 어딘가 매뉴얼 있을꺼에요


이런저런것이 골치아프면 하나만이라도 제대로 챙겨야 하는데,..가장 기본적이지만, 아마 님의 경우 가장 쉽게 실수할수 있는 부분이...예측하건데 두 카메라의 색온도 셋팅일겁니다.

가장 쉬우면서도 아주 쉽게 실수하고, 결과는 치명적이지요....조명환경에 따라 춤추는 자동 색온도 셋팅 잘못하면 결과는 재앙일겁니다, 색온도 셋팅만이라도 열심히 연구하시고 충분히 공부하고 촬영하세요





scorsese9
2012.01.06 20:58

저도 7d랑 오두막이랑 찍은 영상들 봤는데 7d는 크롭바디인데도 생각보단 화질이 좋았지만 오두막에 비해선 약간 떨어지더라구요.. 심도나 색감의 차이도 있고..   날카로운 건 잘 모르겠는데 원래 DSLR영상이 일반 캠코더 보다는 날카로운 맛은 떨이지고 뭉게지면서 부드러운 느낌이 강하죠. 날카로운 건 파라소닉의 GH2가 DSLR에 치곤 굉장히 날카롭던데요. GH2는 동영상을 좀 특화시킨 카메라죠. 포써드 바디이고.

 

 7d가 동영상 고속촬영까지 되나요? DSLR은 고속촬영 안되지 않나요? 캠코더도 아주 고급기종만 고속촬영이 되던데.. 암튼 고속촬영하면 화질이 당연히 저하되고 조명도 더 많이 해야겠죠.

 

 제작비가 되면 7d보단 오두막을 쓰시는게 좋을 거 같고.. 7d도 나쁘진 않은 거 같아요.

 일단 렌즈를 좋을 걸 쓰세요. 오두막에 DSLR용 케논 단렌즈 낀거랑 600만원짜리 칼자이쯔 콤팩트 프라임 렌즈 낀거 화질 비교한거 봤는데...  화질은 선명도 면에서 당연히 칼자이쯔 렌즈가 뛰어났고 특히 색감에서 엄청난 차이가 나더군요.

같은 조명에 같은 피사체를 찍은 건데 정말 같은 바디로 찍은 게 맞나 싶을 정도로 색감에서 큰 차이가 났습니다.

물론 가격이 5배이상 차이나는 칼자이쯔 렌즈가 뛰어난거 당연하지만...

DSLR용 렌즈라도 자이쯔렌즈 쓰면 더 좋을 같기도 해요. 물론 자이쯔렌즈는 줌렌즈가 거의 없고 100%수동렌즈란 단점이 있죠. 어차피 영화는 다 수동으로 하니깐..

madrabbit7
2012.01.07 19:09
scorsese9

크롭바디, 550d, 600d, 60d, 7d는 모두 60p 고속 촬영됩니다. 24p로 환산하면 2.5배 느리게 재생할 수 있지요. 물론 레드원의 2K 120P 고속촬영에는 못 미칩니다만, 아쉽게나마 쓸 수 있는 수준은 됩니다. 물론 720p로의 화질 저하는 피할 수 없고요. 당연 셔터를 올려야 하니 조명도 많이 필요하지요. 칼자이스 사진용 렌즈(렌탈업체에서 쉽게 빌릴 수 있는 zf 렌즈들)조차 캐논 L렌즈보다 색감이 사실적이고 왠지 나아보이더군요. 예산이 빠듯하다면, 니콘 mf 렌즈들을 마련해보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그 다음엔, 캐논 중간급 단렌즈들도 괜찮아 보이고요. 200백만원이면 중요한 단렌즈들 다 구매할 수 있는데, 영화에는 어쩐지 니콘이나 칼자이스가 더 어울려 보이기도 합니다. 5D가 얕은 심도 표현이 잘 되어서 화질이 좋아보이는 건 사실이지요. 영상 밀집도가 크롭바디들과는 다르다는 느낌이구요. 센서사이즈와 상대적 광각 렌즈 사용으로, 크롭바디들에서 심도표현이 상대적으로 힘든 것도 사실이구요. 5D에서 zf렌즈들이 85mm까지밖에 없다는 게 사실 아쉽긴 하죠. 135mm까지만 있다면 사용해볼만 할텐데...차라리 크롭바디들로 zf렌즈들을 사용하면 충분한 화각을 확보할 수 있으니 더욱 좋으리란 생각이 듭니다. GH2의 해상도가 EX3급은 되어 보이는데, 5D의 알리아싱 때문에 sharpen을 내리면 720p 정도 해상에 불과하다고 봅니다. 어느 게 필름룩에 가깝느냐는 보는 사람에 따라 다르겠습니다만, 5D의 얕은 심도가 필름룩을 내는 것도 사실이고, GH2나 EX3의 영상 입자들이 필름룩을 내는 데 더 적합해보이는 것도 제 개인적 견해입니다. DSLR 사진기 특유의 유리처럼 빳빳한 영상적 질감이 어쩐지 좀 날카로워 보이고(해상도 높다는 의미의 쨍한 표현과는 다른 질감 표현입니다만) 왠지 아쉬울 때가 자주 있습니다. 그래서인지 5D의 핸드헬드는 F900이나 EX3, HVX200, HPX500 등의 영상에서 볼 수 있는 자연스런 핸드헬드 느낌과는 달리 어떤 이질감이 느껴져서 그리 좋아 보이지 않습니다. 그래서 저는 캐논의 C300이나 스칼렛X가 더욱 기대됩니다. 스칼렛X의 성능이 기대만큼이라면 집빼서라도 사고 싶지만...문제는 집이 없네요...^__^

scorsese9
2012.01.07 21:31
madrabbit7

누가 c300 홍보용 영상에 대한 글 쓴거 봤는데요.. 차라리 파라소닉 AF100이 더 났다고 합니다. 가격이 얼만지는 몰라도 소니 FS100도 그렇고 단판식 CMOS 방식이니까 화질은 거기서 거길 거 같아요. 개인적으론 케논 캠코더는 색감이나 카메라 디자인이나 별로라서..

스칼렛은 아직 영상은 못 봤지만 일단 에픽에 비해선 고속촬영에 제한이 있고 화질저하도 더 되고.. 스칼렛도 종류가 다양하던데 근데 가격이 2천만원 정도던데 그건 정말 기본바디 구성세트이고 심지어 뷰파인더도 안 들어 있더라구요. 레드 홈페이지를 보니까... 괜찮은 영화 줌렌즈만 해도 수천만원이니까... 제 생각엔 레드 에픽도 렌즈까지 풀세트 갖추려면 1억은 넘을 거고... 레드카메라가 성능에 비해 가격이 싸다는 건 사실 말도 안되는 말인거 같고.. 다만 다양한 버젼이 있어서 선택이 폭이 넓은 거 같고.. 레드 에픽도 첨 나올 때 사용해본 사람이 촬영 도중에 버그현상 같은 고장이 자주 나서 레드 본사에 몇 번 들락거렸다고 하네요. 시간이 지나면 성능이 안정 되겠지만 아무리 돈 있어도 좀 기다리는게 좋겠죠. 물론 나온다고 해도 살 돈도 없지만 ㅋ 돈있음 아리 알레사 카메라 사겠죠. <뿌리깊은 나무> 보니까 화질이나 해상도는 레드원보다 훨씬 뛰어나던데..ㅋㅋ 다 그림의 떡이죠.

madrabbit7
2012.01.12 02:56
scorsese9

저는 영화 촬영용으론 당분간 5D 쓰고, mark3나 1dx가 좋으면 빌려쓰고, C300이 좋으면 빌려쓰고, 레드원 MX도 한번 빌려 쓰고, 주로 EX3으로 작업하겠지만, 파나소닉 hdc27F 이런 게 더 좋네요... 심도 처리 못해서 골골대는 것도 하루이틀이지... 혼자서 슈퍼35미리보다 더 얕은 심도 처리한다는 게 말이 안 되는 건데...그래도 5D니깐... 마음 같아선 hvx200이 풍미하던, 1/3인치, 1/2인치, 2/3인치 시절로 돌아가고 싶네요.... ㅎㅎ 뭐 알렉사야... 두말하면 뭐하겠습니까...

글 등록 순으로 정렬되었습니다 글쓴이 날짜 조회
이제 고3올라가는 학생입니다, 따끔한 조언 부탁드려요. 7 사르트 2013.01.24 2709
여기까지 오게 되었습니다. 답변부탁드려도 될까요..??? 7 강슬기 2013.01.04 1990
눈 내리는 효과? 7 leesanin 2012.11.26 2638
연출부에서 일하고자 하는데요.. 7 앨리스jj 2012.10.26 2950
영화산업실무교육 이라는 데 말입니다. 7 thetree1 2012.07.13 2941
영화에 관심은 많지만 정작 아무 지식은 없는 사람이 영화에 관해 이것저것 묻습니다 7 정주의 2012.07.04 2805
친구를 배우로 쓰려는데 그 친구가 소속사가 있는경우...;; 7 뛰어난 감독 2012.04.26 3028
제작부 제작PD 이쪽일을 하고싶은데 정말 급여가 쉣인가요? 7 파파푸푸 2012.03.05 4109
편집 일을 생각하고 있던 학생입니다. 7 얼리버드 2012.02.29 3236
단편영화 카메라를 정했는데요 조언 부탁드립니다. 7 lakelove 2012.01.04 4691
영화에서 조명을 하고 싶은 고등학생 입니다. 7 이신우 2011.12.29 3627
27..살 영화감독이 되고싶은 학생입니다. 7 jungvsme88 2011.12.13 4368
7 7 yakyyham 2011.09.02 2886
영화를 만들려고 합니다. 7 천도골 2011.05.20 8716
정말 연출 공부하고 싶은데 아직 갈피를 못 잡겠습니다. 7 ppawolf 2011.05.18 8926
. 7 wish405 2011.03.30 4899
도움이 절실한 부족한 고등학생입니다. 7 다큐멘터리프로듀서 2011.02.18 5048
스물여섯에 드뎌 어느정도 진로를 정했는데.. 7 druruk 2010.05.02 3752
단편영화 제작관련 질문이요.. 7 새로운해가뜬다 2010.04.09 3918
정말 아무것도 모르는데 현장에서 일할 기회가 생겼는데요.(도와주세요) 7 highly 2010.01.29 3554
이전
21 / 753
다음
게시판 설정 정보
댓글이 달린 게시글은 수정/삭제 불가
답글이 달린 댓글은 수정/삭제 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