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세이
1,369 개

비 오는 날이면 좋겠고.. 그게 아니어도 커피 한잔쯤 옆에 있으면 좋겠고... 스피커에서는 끈적한 브루스나 나른한 보사노바 정도면 딱 좋겠고...

소주가 500원인 요즘...

pearljam75 pearljam75
2004년 06월 14일 14시 27분 51초 1392 4 11
황신혜밴드의 김형태씨가 경제가 어렵고 세상이 흉흉할수록
학생들에게 문학과 예술을 알게 하고 철학을 가르쳐야한다는 주장을
한적이 있다.
나의 부족한 기억력과 조악한 표현력을 대신하여
그의 글을 찾아 조금 옮겨보자면...

<.....특정 세대가 교양이 없다면 그 사회에서 문화적, 경제적으로
고립되고, 한 세대가 고립된 사회는 문화적, 경제적 패러다임의
단절로 인한 장기불황을 감수해야 한다. 그런 까닭에 체육, 음악,
미술, 작문 시간이 없는 이상한 고등학교를 거쳐 취업준비에만
급급한 직업교육 대학을 나온, 교양이란 단어조차도 생소할
우리네 ‘요즘 아이들’은 사상최악의 취업난에 시달리고 있다.
60만명에 육박하는 청년실업 문제는 경제문제 때문이 아니라
교양교육 부재의 후유증이다.
또한 아무리 힘이 세다고 해도 만성적으로 경제불황의 공포에
시달리는 나라는, 입시위주의 주입식 교육의 원조 일본이나,
기본적인 세계사 교육조차 제대로 하지 않는 미국이나,
빈곤을 이유로 교양교육을 포기한 빈민국들이다.
교양교육이 없기로는 우리도 예외는 아닌 듯하니 경제불황은
이제 시작에 불과하다. ...............>


어제는 오랜만에 학교앞에가서 학교사람들과 술을 마셨는데,
경제가 어렵다보니 소주를 한병에 500원에 파는 술집도 생겼다.
안주도 신촌보다 싸다.
소주 열병을 먹어도 술값이 5천원밖에 안드니 정말 황당할지경이었다.
하지만 아무리 소주가 500원이라도 신촌에서 회기동까지는
50분은 걸리니 자주 가게되지는 않을것 같다.

술자리에서 나는 최근 본 영화들(영화의 주제와 철학따위가 아닌 남자배우들 엉덩이와 갑바....)에
대한 얘기를 하고 있었는데

어떤 과 아해가 <트로이>를 보고나서 사람들에게 <트라이>봤냐고 했다는 말을 듣고 깜짝 놀랐다.
속옷광고냐, 트라이라니....
나는 그 옛날 이덕화와 요즘 권상우가 했던것처럼 벽을 손바닥으로 쳤다. 오호통제라...

전공과 토익공부만을 위해서 살고 있는 현재 대학생들은
정말 골때린다. 우리 과 애들만 그런가??? 고시공부가 사람을
이렇게 만든다는 말인가? 그러면 합격을 빨리 하든가....
법전만 들고다니면서 <일리아드>, <오딧세이>의 호메로스를 모른다는 말이다.
영화<트로이>를 보고나서야 아, 이게 원작이 있는 영화였어? 하는건 아무리 생각해도 심했다.

정말 그렇다.
학점과 토익점수도 중요하지만 이제는 철학과 예술, 문학을 다시 사랑해야하지 않을까?
피상적인 정신세계를 가진 내가 이런 말을 할 자격이 되지는 않지만 ...
세상이 요지경이 된것은 모두 정신적인 가치에 대한 부재때문이다.

신림동 고시촌에서의 생각이 난다.
어떤 이상형에 대한 이야기가 나왔을때 한 고대 녀석이 큰 결심이라도
한것처럼 이렇게 말했다.
"난 이대애랑 사귈거야..."
꽈당, 밑도 끝도 없이 달랑 '이대'란 말인가? 정말 얄팍한 가치관이다.
<일리아드>,<오딧세이>가 대수인가? 호머가 누구야?
상관도 없다. 일찍 합격해서 판사가 되어야하고, 검사가 되어야하고
변호사 개업해야한다.

가치관이랄것도 없는 이 무개념의 인간들이 판사가 되어 법률적 판단을
얼마나 잘 할지 의심스러우나,

일단 합격하면 미래를 약속했던 뒷바라지해주던 여자친구와 결별하고 재벌집으로 팔려간다.

그렇게 몸파는 걸 쪽팔려하지도 않는것을 보면 용주골 창녀들보다
더 하류인생들이다.
자기 철학이 없기때문이다. 뭐가 창피한건지 구별도 못한다.

사법연수원 수업중에는 판사들과 승용차타는 법(예비판사가 판사를 상석에 앉히기 위해
잽싸게 문열고 들어가 뒷좌석 왼편에 앉아야한다는...) 도 가르친다는데, 오! 아름다운 권위주의여!

500원짜리 소주덕에 아침나절 머리도 아프고, 속도 쓰리고, 그래서 횡설수설했다.

Don't look back in Anger.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aesthesia
2004.06.14 15:11
멋져요..진실로..^-^;;
73lang
2004.06.14 19:47
트라이는 그래두 양호한 펜이고만요;;;;

'브래드 피트의 이름이 아킬레스라 이름이 똑같아서 아킬레스 건에 화살을 맞아염? 내공 100 드림' 이라는 질문에

잠시, 구리도 아닌 아연하게 실색얼 혔던적이 있슴다...

더 황당했던건...온라인상이 아닌 오푸상에서.. 것도 초딩이 아닌 대학상이

실찌루 조런 질문덜얼 던지넌 것을 목격혔을때

증말루 황당혔었슴다.

요즘 대학상덜 만나서 잠시 5분만 대화를 나눠봐도

지식까정 검색해 주넌 '지식in' 수준은 커녕... 감수성도 아조 심각한 수준이라꼬 느꼈었슴다.





뱀발 : 진주쨈님 글을 읽다보면 기분이 야릇허요...;;;;

우리 언제 한번 분위기 좋은 약국에서 시야시 확실허게 된 박카스나 한잔 헐끄나요?

아니면 제가 잘 아넌 분식집이 있넌디....팥빙수랑 비냉 안주에 참이슬이나 한잔 헐끄나요? --;;;;

움...;;;



'그뇨으 이름은 pearljam75 입니다

pearljam75 ... 그뇨으 글을 볼때마다 묘한 기분에 사로잡히죠

그뇨에겐 누구도 통제할수 읍넌 그무엇인가가 있습니다..'


"난 뒤지면 다시 바람이 될꺼여~~!"



우겔겔
Profile
pearljam75
글쓴이
2004.06.15 14:17
술은 제가 삽니다!!!! 박카스는 못마십니다.......떡볶이에 참이슬도 참 맛납니다.
뭔들 안맛나겠습니까. 참이슬과 함께라면...... 허,허,허.....
필커에도 오프로 만나고 싶은 분들이 많이 계신데 언제 한번 날을 잡으면 좋겠죠?
73랭님도 그렇고, 빈센트님, 제다이님, 에.....또.....그밖에 많은 분들요..... (아이디가 세글자이상이면 못 외움)
모토는 늘 이거죠, 먹고 죽자!
rpig72
2004.06.15 14:33
대학이 대학으로서의 기능을 못하고 있는 대표적인 케이스가 철학의 부재가 아닐까합니다.
철학과는 폐물이 되어버린지 오래...
학문은 자신의 기능, 즉 비판정신을 통해 사회를 변혁하고 발전시킵니다.
철학이 부재한 사회는 비판이 말살되고 발전할 수 없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pearljam75님의 글은 공감이 가는군요.
얄팍한 지식인(?)만이 존재하는 한국사회가 점점 걱정되는군요.
철학적 사고와 과학적 비판의 활성화만이 사회 발전의 필요조건이란 생각이 드는군요.
이전
32 / 69
다음
게시판 설정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