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세이
1,369 개

비 오는 날이면 좋겠고.. 그게 아니어도 커피 한잔쯤 옆에 있으면 좋겠고... 스피커에서는 끈적한 브루스나 나른한 보사노바 정도면 딱 좋겠고...

대한뉴스와 화려한 휴가

3822724
2007년 07월 28일 20시 42분 44초 1617 2
광주 이야기를 영화로 만드는 건 자유지만...
그것을 누구나 봐야 한다는 주장은 군사정부에서 단체 관람을 강요했던 반공 영화와 똑같이 보인다.

권력을 가진 사람들은 언제나 자신들의 입장을 영화로 만들어서 더 많은 사람들이 보아주기를 바란다. 그들 눈에는 새로운 세대의 자유분방함이 무질서나 무지로 보일 것이다.

그러나 그 차이속에서 저항이 싹트는 것이고, 그속에서 진짜 소중한 문화가 탄생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영화의 성공이나 실패와는 무관하게, 이 영화의 방식은 낡았다.

광주를 성지로 생각하는 사람들은 이 영화에 무관심 한 사람들을 역사에 무지한 사람으로 평가 하는 것일까?

나는 더 비극적으로 죽어간 사람들도 많이 알고 있다.
그런데 그것이 나와 무슨 관련이 있다는 것인가?

이러한 의문 부호로부터 새로운 것이 나오는 것이다.

광주를 신성시 하고 그것을 범접해서는 안되는 신화로 만들고 싶어 하는 사람들은 그곳에서 죽어간 사람들도 부담스러워 할 것이다. 북한의 평양에 우뚝 솟아 있는 김일성 동상이 가능한 것은 바로 이러한 신격화 내지는 신성화를 묵인하기 때문이다.

새로운 세대에게 그때의 광주가 교양 과목으로서 참고가 될 수는 있다. 그러나 그것을 무겁게 받아들이라고 강요하는 기성 세대는 하나의 거대한 권력일 뿐이다.

물론 이 영화는 '배달의 기수'나 '대한뉴스'보다는 훨씬 세련되게 이데을로기를 전달한다. 그러나 두 가지는 별로 다르지 않다. '배달의 기수'속에도 조국을 위해 비극적으로 죽어간 사람들이 등장한다. 어쩌면 세련되지 못하기 때문에 순진해 보이기도 한다.

그때의 광주에 부채감을 느낀다면, 그것은 그것을 느끼는 사람의 문제일 뿐이다.

80년대에 화염병과 돌을 던지던 사람들이 지금은 청와대에도 있고 교단에도 있고 언론사에도 있다. 그들은 다양한 형태를 띠고 있지만, 근본적으로는 똑같다.

그들이 소중하게 생각하는 것들을 무시하는 것에서부터 새로운 것들이 나오기 시작할 것이다.
그것이 진정한 의미의 저항이다.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film312
2007.07.30 09:44
저도 이 영화를 봤지만 전혀 그런 강요를 못 느꼈어요.. ^^; 이 영화가 전달하는 방식이 물론 세련되거나 하지는 않고..
오히려 촌스럽지만 그런 방식이 더 와닿았는걸요.

이 영화는 그저 실제 있었던 사건을 영상화시켰을 뿐이고 거기 얽혀 있는 드라마는 그냥 있을 법한 일일 뿐이구요.

이 영화를 보고 우는 관객들은 광주민주화 항쟁 자체를 보고 우는 거라 생각해요.
그 근본 정신이라든가 정치적 배경이라든가 그런 거 다 몰라도..

그런 무자비한 일이 일어났다는 것 자체만으로도 분노하고 안타까워하는 거죠.

보라고 강요는 못해도 본 사람들만이라도 그 아픔을 절감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이런 방식이 옳았다고 봅니다.


그리고 '젊은' 사람들은 그 사건에 대해 무지할 뿐이지 알고도 "근데 그게 뭐..?" 이럴 사람은 별로 없어요.ㅎㅎ

말씀하신 것처럼 지금도 비슷한 일들은 많이 일어나죠.
하지만 이런 역사적인 사건을 조명하면서 지금 일어나고 있는 일들에 대해서도 사람들의 관심을 환기시킬 수 있는 거 아닐까요?
Profile
sandman
2007.08.02 14:40
뭐 저는 보지 못해서 정확히 말씀은 못 드리겠지만..
보고 온 아주 일반적인 관객은...
입구에서 손수건을 준비해 가라고 해서..
냅킨을 한아름 가져 갔는 데
다 썼다고 하더군요.

더 한것은.. 동반한 다 큰 딸은..
이런 영화는 안 볼거야...
그랬다고 하고...
저의 지인은..
그런 이야기에 울면서 보기는 했지만...
...

그리고 한마디 정도 하고 말을 마무리 짖더군요...

뭔 말인지 모르겠지만...
그렇다는 것입니다.

제 느낌은 ~~ 에고에고 단어와 문장이 생각 안납니다 그려..
패스...
이전
53 / 69
다음
게시판 설정 정보